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Ⅵ.방재 78

58. 물순환 수변도시

문제) 6. 근래에 많이 추진되고 있는 물순환 수변도시의 수공학적 핵심개발개념 세 가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6-3 1. 물순환 수변도시 ⑴ 하천, 항구 등 수역을 접하면서 물을 매개로 주거, 레저, 문화공간 등의 가치를 부여해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차세대 도시개발 개념 2. 물순환 수변도시의 수공학적 핵심개발개념 ⑴ 수자원을 확보하는 물자족 도시 ① 활용 가능한 수자원의 최적 활용방안을 설계해 반영 ② 대체수원 확보 ⓐ 빗물의 자원화 : 빗물 활용, 우수유출 저감 등 ⓑ 하수 재이용 : 하수 재이용수를 주운수로의 유지용수로 공급 ⓒ 지하수 활용 : 하천 유지용수 공급 ⑵ 분산형 물순환 도시 ① 강우량을 가능한 발생지점에서 자연적인 순환과정을 통하여 처리 ② 침투, 저류, 저장, 이용 등을 유역내..

57. 지진해일, 고파랑

문제) 3. 쓰나미(Tsunami)와 고파랑(High Water, 너울성)의 특정 및 발생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7-4 1. 지진해일(쓰나미(tsunami)) ⑴ 지진해일 : 해저/해안에서 지진 등이 발생하여 해저지각이 크게 융기 또는 침강할 때 해수면이 요동쳐서 긴 파로 전파 ⑵ 발생원인 : 지진, 화산분출, 산사태, 운석 등 수중교란에 의해 발생하는 일련의 엄청난 파동 ① 해저/해안 지진 ② 해저/해안 화산 분출 ③ 해저/해안 산사태 ④ 해양에 운석 낙하 ⑶ 특징 ① 파동이 전 방향으로 바깥으로 이동 ② 파장이 폭풍해일 또는 고파랑 등에 비해 훨씬 길고 파고가 매우 높음(파장 : 수㎞~수백㎞) ③ 지진에 의해 해저에서 해안에 이르는 모든 바닷물이 거대한 덩어리가 되어 해안으로 밀려옴 ④ 해안에..

56. 남·북한 공유하천과 물 분쟁 해소방안*

문제) 4. 남·북한 공유하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남·북한 공유하천과 이들 공유하천에서 발생되는 물분쟁 해소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5-4 1. 남·북한 공유하천 ⑴ 공유하천 : 보통 둘 이상의 나라들의 경계를 이루거나 이들 국가의 영토를 흐르는 하천 2. 물분쟁 ⑴ 국제 공유하천의 물 분쟁 원인 ① 나일강(이집트 등 9개국) : 이집트의 아스완 댐 건설로 인한 주변국 반발 ⇛ 이집트 - 수단간 체결된 “Full utilization of the Nile waters” 협약에 따른 상호 협력 ② 라인강(독일, 프랑스,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 용수사용량 증가에 따른 수질오염 및 개발에 따른 홍수위험성 증가 ⇛ 라인강 수질보전을 위한 국제위원회(ICPR) 구성(라인강 오염실태 및 오염원 ..

55. 물 분쟁의 형태와 분쟁의 관리 및 해소방안*

문제) 3. 이수측면에서의 물 분쟁 중 수리권 분쟁의 사례와 해결방안에 대하여 설명. 92-2문제) 5. 물 분쟁의 형태와 분쟁의 관리 및 해소방안에 대하여 설명. 102-3문제) 6. 물분쟁의 유형과 물분쟁에 따른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114-3문제) 5. 우리나라 수리권제도의 문제점 및 물 분쟁사례와 해소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2-3[물분쟁 사례분석 및 조정방안에 관한 연구(2007.11 건설교통부)]1. 물 분쟁의 형태(물 분쟁 유형) : 하천기능, 발생원인, 분쟁주체  가. 하천의 기능에 따른 물 분쟁 : 이수, 치수, 환경    ⑴ 이수측면의 물 분쟁      ① 수리권, 수운, 수력발전 및 건천화로 인한 분쟁, 댐건설로 인한 용수배분 분쟁      ② 수리권 분..

54. 비점오염저감시설

문제) 4.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종류, 유형별 설치기준 및 기술동향에 대해여 설명하시오. 111-3 1. 비점오염원 ⑴ 비점오염원 :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 ⑵ 비점오염 : 토지표면에 축적된 오염물질 등이 강우에 의해 유출되는 것 ⑶ 비점오염물질 종류 : 토사, 영양물질, 박테리아&바이러스, 기름&그리스, 금속, 유기물질, 농약, 협착물 ⑷ 비점오염원 특징 ① 오염물질의 유출 및 배출경로가 명확하지 않아 차집이 어려움 ② 오염물질의 발생량, 배출량이 기상조건과 유역특성에 의해 크게 좌우 ⑸ 비점오염저감시설 :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하게 하는 시설 2. 비점오염저감시설 종류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 제8조(비점오염저감시설)) ⑴ 자연형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