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 392

재해위험지역 정비사업으로 시행하는 배수펌프장 설계 시 고려사항 등

1. 설계목표  ○ 주거지* : 계획기준 내의 침수해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도시지역 및 비도시지역 취락지구  ○ 농지*(시설재배지 기준) : 계획기준 내의 침수해소     * 답작지(수리답)는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 적용  ○ 하천펌프장(자기류 제방) : 하천기본계획에 따른 계획홍수위의 유지2. 계획기준  ○ 설계강우량‧계획홍수량구분설계강우량 및 계획홍수량 산정기준주거지도시지역방재성능목표 이상을 원칙으로 하되,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위험등급에 따라 차등 적용** 가‧나 등급 : 방재성능목표   다 등급 : 30년 빈도비도시지역 취락지구30년 빈도농지 (시설재배지 기준)30년 빈도하천 펌프장 (자기류 제방)하천기본계획에서 정한 계획빈도  ○ 설계강우지속기간구분설계강우지속..

수자원개발 기술사 기출문제(135회)

1.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관계기관 협의사항 및 단계별 의견수렴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https://water-resources.tistory.com/entry/79-%ED%95%98%EC%B2%9C%EA%B8%B0%EB%B3%B8%EA%B3%84%ED%9A%8D-%EC%9D%98%EA%B2%AC%EC%88%98%EB%A0%B4-%EC%A0%88%EC%B0%A8 2.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수립 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및 변경 시 경미한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https://water-resources.tistory.com/entry/51-%EC%86%8C%ED%95%98%EC%B2%9C%EC%A0%95%EB%B9%84%EC%A2%85%ED%95%A9%EA%B3%84%ED%9A%8Dhttps://wat..

홍수취약지구 조사·지정·관리 지원 용역

1. 과업목적  ⑴ 기후변화 등에 따른 홍수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홍수에 취약한 구간을 선별 집중관리 필요  ⑵ 체계적인 하천관리를 위해 하천 전문기관 지원을 통한 운영체계 강화2. 추진배경 : 홍수피해 예방 및 피해 최소화  ⑴ 운영체계 강화 : 22년부터 담당공무원을 중심으로 홍수취약지구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전문성 인력 부족등으로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  ⑵ 홍수피해 대응 : 전문기관 위탁용역을 통해 홍수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3. 홍수취약지구  ⑴ 정의 : 계획홍수위이하의 홍수에도 인명피해 또는 중대한 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⑵ 조사대상    ① 국가하천 전 구간 및 국가하천의 배수영향을 받는 지방하천 구간    ② 당해연도에 국가하천 승격이 예정..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건전한 물환경 조성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건전한 물환경 조성(출처 :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21-2025)1. 도시의 물순환 회복   ⑴ 물순환 관리 체계 마련 (W04, W05, W06, W09 / 환경부)      - 시·도별, 소권역별 중장기 불투수면적률 및 물순환율을 관리하는 '물순환 목표관리제' 추진('21~)       - 저영향개발(LID) 기법 확대 적용으로 가뭄 및 도시침수 예방, 수질개선 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도시 물순환 구조 개선       - 수질·수생태계, 수량, 친수공간 등을 통합 관리하는 '물 안심 도시' 조성   ⑵ 물순환 모니터링 및 물수지 관리 강화 (W04, W05, W06, W09 / 환경부)       - 댐·저수지 공급·사용량, 유역외 물이동, 취·방류수량 등을 고려한 실..

가뭄대응력 제고 및 수자원 다변화로 물안보 강화

가뭄대응력 제고 및 수자원 다변화로 물안보 강화(출처 : 제3차 국가기후변화 적응대책(2021-2025)1. 가뭄 대응 능력 제고   ⑴ 지역 맞춤형 가뭄 예방 및 대응 강화      - 상수도 누수방지 및 수질 유지를 위하여 노후상수도 개량(총 3,332㎞, ~24년)       - 전국 생·공용수 '가뭄취약지도' 작성, 수요자 맞춤형 지원 서비스('단비') 시행       - 가뭄종합상황판, 비상급수현황조사시스템, 가뭄 119 등 지자체의 가뭄대응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구축·운영 및 고도화       - 물 부족 문제에 대비하여 가뭄 취약지역인 도서지역에 맞춤형 상수도 확충          ① 해저를 이용한 상수도관로 설치          ② 연륙교를 이용한 도서내 관로 설치          ③ 지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