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Ⅵ.방재 78

재해위험지역 정비사업으로 시행하는 배수펌프장 설계 시 고려사항 등

1. 설계목표  ○ 주거지* : 계획기준 내의 침수해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도시지역 및 비도시지역 취락지구  ○ 농지*(시설재배지 기준) : 계획기준 내의 침수해소     * 답작지(수리답)는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 적용  ○ 하천펌프장(자기류 제방) : 하천기본계획에 따른 계획홍수위의 유지2. 계획기준  ○ 설계강우량‧계획홍수량구분설계강우량 및 계획홍수량 산정기준주거지도시지역방재성능목표 이상을 원칙으로 하되,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위험등급에 따라 차등 적용** 가‧나 등급 : 방재성능목표   다 등급 : 30년 빈도비도시지역 취락지구30년 빈도농지 (시설재배지 기준)30년 빈도하천 펌프장 (자기류 제방)하천기본계획에서 정한 계획빈도  ○ 설계강우지속기간구분설계강우지속..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건전한 물환경 조성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건전한 물환경 조성(출처 :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21-2025)1. 도시의 물순환 회복   ⑴ 물순환 관리 체계 마련 (W04, W05, W06, W09 / 환경부)      - 시·도별, 소권역별 중장기 불투수면적률 및 물순환율을 관리하는 '물순환 목표관리제' 추진('21~)       - 저영향개발(LID) 기법 확대 적용으로 가뭄 및 도시침수 예방, 수질개선 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도시 물순환 구조 개선       - 수질·수생태계, 수량, 친수공간 등을 통합 관리하는 '물 안심 도시' 조성   ⑵ 물순환 모니터링 및 물수지 관리 강화 (W04, W05, W06, W09 / 환경부)       - 댐·저수지 공급·사용량, 유역외 물이동, 취·방류수량 등을 고려한 실..

가뭄대응력 제고 및 수자원 다변화로 물안보 강화

가뭄대응력 제고 및 수자원 다변화로 물안보 강화(출처 : 제3차 국가기후변화 적응대책(2021-2025)1. 가뭄 대응 능력 제고   ⑴ 지역 맞춤형 가뭄 예방 및 대응 강화      - 상수도 누수방지 및 수질 유지를 위하여 노후상수도 개량(총 3,332㎞, ~24년)       - 전국 생·공용수 '가뭄취약지도' 작성, 수요자 맞춤형 지원 서비스('단비') 시행       - 가뭄종합상황판, 비상급수현황조사시스템, 가뭄 119 등 지자체의 가뭄대응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구축·운영 및 고도화       - 물 부족 문제에 대비하여 가뭄 취약지역인 도서지역에 맞춤형 상수도 확충          ① 해저를 이용한 상수도관로 설치          ② 연륙교를 이용한 도서내 관로 설치          ③ 지하..

기후변화에 대비한 지속가능한 홍수관리

기후변화에 대비한 지속가능한 홍수관리 (출처 :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21-2025))1. 홍수대응력 제고를 위한 조기경보체계 구축   (1) 홍수 예보 인프라 확충으로 관측 취약지역 해소     - 홍수특보지점을 확대(65개소 → 218개소, ~'25년)하고, 특보지점 운영·관리를 위한 예보 전담기능 강화 및 AI 홍수예보 도입      - 홍수통제소가 없는 섬진강 수계(유역면적 4위) 홍수통제 기능 강화방안 검토       - 소형 강우레이더를 확대 구축(2기 → 9기* , ~'25년)하고, 레이더 기반 단기 강우 예측 및 돌발홍수 예측기술을 개발하여 돌발홍수 조기예보시스템 구축 * (현재) 삼척, 울진 → (확충) 부산, 울산, 대전, 청주, 광주, 세종, 전주   (2) 홍수예보 정확..

73. 해일위험지구 지정기준

1. 해일위험지구 지정기준 ○ 법적근거 : 「자연재해대책법 시행령」 제8조(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지정 등)   ① 폭풍해일, 지진해일, 조위 상승, 너울성 파도 등으로 해수가 월류되어 인명피해 및 주택, 공공시설물 피해가 발생한 지역   ② 「자연재해대책법」제25조의 3에 따라 해일위험지구로 지정된 지역     - 시장・군수・구청장은 해일로 인하여 침수 등 피해가 예상되는 다음 각 호의 지역을 해일위험지구로 지정・고시하고,        그 결과를 시・도지사를 거쳐 행정안전부장관과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에게 보고        1. 폭풍해일로 인하여 피해를 입었던 지역        2. 지진해일로 인하여 피해를 입었던 지역         3. 해일 피해가 우려되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2. 피해발생 예측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