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Ⅵ.방재 78

63. 이상홍수, 돌발홍수

문제) 1. 기상이변으로 인한 이상홍수(Extraordinary Flood)에 대해서 설명하고, 돌발홍수(Flash Flood)의 원인 및 대책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10-3 1. 이상홍수 개요 ⑴ 기상이변에 의해 발생하는 홍수로 엘리뇨에 의한 이상홍수가 주종을 이룸 ⑵ 월평균기온이나 월강수량이 30년에 1회 정도의 확률로 발생하는 기상현상을 이상기상으로 정의 2. 이상홍수 문제점 ⑴ 강수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함으로 첨두홍수량 및 홍수체적이 증가 ⇛ 다목적댐의 홍수조절능력 저하 ⑵ 경우에 따라 증가된 첨두홍수량이 설계홍수량을 초과하여 하천시설물이 파괴되기도 함 ⑶ 최근 높은 강도의 강우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의 자료를 반영할 경우, 같은 안전도에서 설계값이 높아지며 기존구조물의 안전도가 상대적으로 ..

62. 수자원 및 하천관리분야의 드론 활용방안.

문제) 3. 드론(Drone)을 활용한 하천관리의 효율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1-2 1. 드론에 대한 개요. ⑴ 무인항공기, 무인비행체, UAV(Unmanned Aerial Vehicles) 등 여러 가지 용어로 사용. ⑵ 고정익 무인항공기 : 날개가 기체에 수평, 고정된 날개에서 양력 발생, 고효율 비행이 가능, 군용 및 감시정찰용에 적용. ⑶ 회전익 무인항공기 : 헬리콥터와 같이 날개의 회전을 이용,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양력 발생, 정지, 체공가능하며 항공촬영 소방 디지털 맵핑에 적용. 2. 수자원 및 하천관리에서의 드론활용방안. ⑴ 가뭄, 홍수 모니터링 및 피해 예측 (홍수 피해, 가뭄 상황 등). ⑵ 댐, 보 등 수리시설 상시 모니터링 (위험 감지 및 자동 전파 등). ⑶ 녹조 상시..

61. 녹조저감 대책

문제) 13. 낙동강 하류의 녹조현상 발생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3-1 문제) 5. 녹조현상의 원인과 피해 및 저감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6-3 1. 녹조 ⑴ 녹조(綠潮) : 녹조류라는 플랑크톤, 독소 생성 안함. 적조와 대비 ⑵ 녹조(綠藻) : 남세균은 녹조류보다 연녹색을 띠다가 건조하면 청색을 띰, 독소 생성. ⑶ 녹조현상 : 일반적으로 호수의 물이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 녹조 발생시 수돗물에서 악취발생 ⇛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필요(비용 상승) ⑷ 발생조건 : 질소와 인 농도가 높아야 하고 체류시간이 길어야 함, 태양광, 수온, 유속 영향 2. 녹조저감 대책 ⑴ 불필요한 보와 저수지 철거. ⑵ 인 저감 : 하수처리, 퇴비 유출 방지, 화학적 응집침전. ⑶ 살조제 : 황산구리(독성) ⇛..

60. 국내기업의 국제수자원사업 추진전략

문제) 3. 국내기업의 국제수자원사업 추진전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2-4 1. 국제수자원사업의 필요성 ⑴ APEC(Asia-Pacific Economic Corporation)의 경제성장, 중국자본의 급성장 등 주변국들의 정치, 경제적 위상이 올라가 수자원 인프라계획, 건설, 운영 관리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 ⑵ 아시아 지역은 수자원공급이나 위생시설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물 스트레스가 심각 ⑶ 국내 수자원 관련 기술과 경험을 수출하고 해외사업 활성화를 위한 장기전략 수립이 필요 2. 국제 수자원사업 추진전략 ⑴ 전략수립 방향 ① 구체적인 계획수립에 앞서 국내 수자원 관련 기술수준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야 함 ② 국제 수자원사업 추진에 있어서 기술지도가 필요함 ③ 거점지역을 선정 : 학술교..

59. 우리나라 수자원관리 여건변화와 미래대응전략

문제) 6. 기후변화대응 재난관리 개선 종합대책(2011.12, 재난관리개선 민관합동 T/F)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선대책을 설명하시오. 96-4 문제) 5. 우리나라 수자원관리 여건변화와 미래대응전략을 설명하시오. 98-3 1. 기후변화로 인한 우리나라 수자원영향 ⑴ 기후변화 ⇛ 연 강수량 편차 심해짐 ⇛ 홍수와 가뭄이 빈발할 것으로 예상 ① 1일 100mm이상의 폭우발생 횟수가 2.7배 증가, 100년빈도 홍수량도 20% 증가할 전망 ② 가뭄 발생기간이 3.4배 증가 ③ 기온상승은 각종 용수 수요를 증가 ⇛ 물부족을 초래할 것으로 예측 ⑵ 우기도 6~8월에서 7~9월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됨 ⑶ 하천과 호소의 수온도 2도 이상 상승 ⇛ 수질악화 및 생태계파괴가 우려 2. 기후변화로 인한 하천관리방안(≓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