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개발기술사/Ⅵ.방재

73. 해일위험지구 지정기준

견마지로 2024. 12. 9. 11:22

1. 해일위험지구 지정기준

 ○ 법적근거 : 「자연재해대책법 시행령」 제8조(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지정 등)

   ① 폭풍해일, 지진해일, 조위 상승, 너울성 파도 등으로 해수가 월류되어 인명피해 및 주택, 공공시설물 피해가 발생한 지역

   ② 「자연재해대책법」제25조의 3에 따라 해일위험지구로 지정된 지역

     - 시장・군수・구청장은 해일로 인하여 침수 등 피해 예상되는 다음 각 호의 지역을 해일위험지구로 지정・고시하고,

       그 결과를 시・도지사를 거쳐 행정안전부장관과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에게 보고

        1. 폭풍해일로 인하여 피해를 입었던 지역

        2. 지진해일로 인하여 피해를 입었던 지역

        3. 해일 피해 우려되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

2. 피해발생 예측 및 현황

재해인자 자료명 기관
침식 연안침식 실태조사 강원도 환동해본부, 경상북도청, 해양수산부
폭풍해일, 침수 해안침수예상도 제작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태풍, 해일, 파랑, 조석, 해수면상승, 침식 등 연안재해취약성 평가체계 구축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조석 실시간 고조 정보 서비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해수면 상승 기후변화 대응 해수면 변동 분석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지진해일 지진해일대응시스템 국립재난안전연구원

 

3. 용어 (참고)

 1) 조석

  ① 지구와 달・태양간의 인력에 의해 발생하는 해수면의 규칙적인 승강현상

  ② 밀물과 썰물은 대략 12시간 25분을 기준으로 반복

  ③ 조석으로 인한 대조기 고조 시 침수피해가 발생하며 다른 재해와 중첩되면 피해를 가중

 2) 해안침식

  ① 해수면 상승과 파랑, 해일 등의 자연적인 요인과 인공구조물의 영향 등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

  ② 너울성 파도, 조류, 태풍 등으로 해안침식이 가중되어 심각하게 진행

 3) 파랑

  ① 바람의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해수면의 요동현상

  ② 해파가 주로 수심이 낮은 연안으로 접근하면서 해저면의 마찰과 주변 지형에 의한 회절, 굴절 등의 영향에 따라

      파고가 더욱 크게 증가

  ③ 너울성 파도 또는 월파에 의한 인명피해와 해안침식, 해안도로 및 방파제의 유실 등 재해를 유발

 4) 해일

  ① 폭풍이나 지진 및 화산활동 등에 의해 바닷물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육지로 넘치는 현상

  ② 폭풍해일

   - 천문조와 기상조, 폭풍, 저기압 등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해수면이 상승

   - 태풍에 의해 강한 폭풍우와 강풍을 동반

  ③ 지진해일(Tsunami) : 해저 지진이나 화산폭발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

  

해일위험지구 지정 가이드라인.pdf
7.82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