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Ⅳ.하천공학 60

42. 우물수리학

문제) 3. 피압대수층과 비피압대수층 우물의 유량공식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105-1 1. 우물수리학 ⑴ 우물 : 지하수를 지표면으로 양수하기 위해 설치한 지층으로 판 연직구멍 ⑵ 우물설치 수공학 해석 ① 양수량 결정 : 정상상태(평형설) ② 지하수위 강하량 : 비정상상태(비평형설) ⑶ 수면강하곡선 : 우물 주위 대수층의 지하수위는 특정경계에서부터 강하하여 우물을 향하여 경사를 가지는 원추형 곡선모양의 지하수위를 보이며 이 때의 지하수위 곡선 ⑷ 영향권반경 : 우물에서 장기간 양수를 한 후에도 수면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지점까지 우물로 부터의 거리 ⑸ 우물의 종류 ① 굴착정 : 피압대수층 : 불투수층까지 뚫고 피압대수층의 물을 양수하는 우물 ② 심정 : 자유수면을 갖는 비피압대수층의 우물을 우물바닥이 불..

41. 설계 VE*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

문제) 5. 수자원분야에서의 VE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9-2문제) 2.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설계 VE제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5-3문제) 6. 설계 VE(Value Engineering)의 실시시기 및 단계별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4-31. 설계VE개념 (VE : Value Engineering(가치공학))  ⑴ 최소의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으로 최상의 가치를 얻기 위한 목적  ⑵ 여러 전문분야가 협력하여 프로젝트의 기능분석을 통해 대안을 창출해 내는 체계적 절차2. VE의 형태  ⑴ 가치(Value) : 사용자가 원하는 성능, 품질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최적 비용효과  ⑵ 기능(Funcion) : 프로젝트, 공종, 재료 ..

40. 생태하천 복원계획

문제) 1. 수생태계 복원계획의 개요와 복원계획 수립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4-31. 생태하천복원 개요  ⑴ 복원의 정의       - 훼손 또는 인위적 변형, 오염된 생태계를 본래 고유한 상태로 되돌리거나 최대한 유사한 상태로 회복  ⑵ 생태하천복원사업 목적       - 수질 오염하천, 생태계 훼손하천을 수질개선 및 생물다양성 증가 등을 통해 수생태계를 복원하는 사업  ⑶ 수생태계복원의 유형 : 원유대    ① 원형복원 : 원래 자연상태의 하천으로 복원, 인위적 정비 최대한 배제    ② 유사복원 : 자연상태의 하천에 가깝게 복원, 인공적 복원기법 제한 이용    ③ 대체복원 : 원래의 생태계로 회귀가 불가능한 구간에 대해 치수 안정성 확보 및 사람의 이용 도모2. 수생태계 훼손원인 ..

39. 하천복원사업

문제) 3. 하천복원공법에 대하여 선행 검토사항 및 각 종류별 복원공법을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86-4 문제) 4. 하천복원사업의 기본방향과 설계 시 하천공간별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0-3 문제) 6. 하천복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2-4 1. 하천복원사업 ⑴ 하천복원의 정의 ① 생태계 복원/회복에 초점을 맞춘 하천복원의 정의(ERM : Ecological Restoration Model) ⓐ 인위적인 교란으로 훼손된 하천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교란 전 상태에 가깝게 되돌리거나(복원), 새롭게 만들어 주는 것(회복) ⓑ 생태계 구조와 기능이 복원되면 수질 자정 기능과 친수(어메너티) 기능은 어느 정도 회복 ② 어메너티 복원에 초점을 맞춘 하천복원의 정의(ARM : Am..

38. 자연친화적 하천정비

문제) 13. 자연친화적 하천조성을 위한 보전지구, 복원지구, 친수지구 지정기준. 93-1 문제) 6. 자연형 하천정비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6-2 문제) 3. 자연친화적 하천정비의 기본방향과 하천공간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1-2 문제) 4. 「하천법」(시행령, 시행규칙 포함)에 나타난 자연친화적 하천조성을 위한 지구지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9-3 1. 자연형 하천공법 ⑴ 자연재료를 최대한 이용하고 가능한 자연에 가까운 하천을 만들기 위한 공법임 ⑵ 자연의 하천을 본보기로 하고, 치수상의 안전성을 확보한 후에 적극적인 자연창조를 도모함 ⑶ 자연스런 하천의 특성을 반영하고 내구성, 시공성, 유지관리 등을 고려한 현실적인 공법이 되어야 함 2. 자연형 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