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Ⅳ.하천공학 60

4. 제방 붕괴원인

문제) 3. 하천제방의 붕괴원인과 그에 따른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6-2문제) 1. 제방의 제방피해유형 및 붕괴원인, 유형별 피해방지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1-4문제) 1. 하천 제방의 붕괴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2-31. 제방 붕괴 유형  ⑴ 월류(40%)    ① 계획규모 초과로 제방고 부족   ② 설계홍수량 과소 책정   ③ 유목 등으로 통수능 저하   ④ 교량의 통수단면 감소     ⇒ 하천설계기준에 적합한 설계 및 시공     ⇒ 유지관리 철저  ⑵ 세굴 및 침식(40%)    ① 하천 급경사    ② 급격한 만곡부    ③ 협소한 하폭 구간    ④ 장기하상 저하로 제방하단부 세굴     ⇒ 하천설계기준에 적합한 설계 및 시공     ⇒ 하상유지시설(낙차공, ..

3-1. 추이대복원

문제 2. 은제 및 추이대. 86-1 1. 추이대 복원(은제 및 복토) ⑴ 추이대 : 두 생태계가 전이하는 지역, 다양한 생물군상이나 특이종의 출현이 높은 전이지대 ⑵ 은제 : 일본에서 생성된 개념, 기존 호안에 복토를 하여 앞비탈을 완경사화하는 자연친화적 공법 ⑶ 추이대 복원 효과 ① 생태기능 개선 ② 치수안전성 제공 ③ 경관개선 ④ 접근성 향상

3. 굴입하도 / 완전굴입하도

문제) 9. 하천설계기준에서 정의하는 굴입하도/완전굴입하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84-1 문제) 12. 굴입하도와 완전굴입하도. 89-1 1. 굴입하도 / 완전굴입하도 ⑴ 굴입하도 : 계획홍수위가 제내지반고보다 낮거나, 둑마루나 흉벽의 마루에서 제내지반까지의 높이가 0.6m미만인 하도 ⑵ 완전굴입하도 : 굴입하도 중 둑마루가 제내지반보다 낮은 하도

2. 제방의 측단

문제) 12. 제방의 측단을 설명하시오. 104-1 1. 측단 ⑴ 제방의 안정, 뒷비탈의 유지보수, 경작용 장비의 통행, 비상용 토사의 비축, 생태 등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제방 뒷비탈기슭에 설치 ⑵ 안정측단, 비상측단, 생태측단으로 구분 2. 안정측단 ⑴ 기초지반 누수시 누수대책공법(물막이벽 공법, 고수부 피복공법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안정측단을 설치하여 제방단면을 확대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 ⑵ 안정측단의 폭은 국가하천 4.0m이상, 지방하천은 2.0m이상으로 함 3. 비상측단 ⑴ 제방 파괴시 필요한 비상용 토사의 비축을 위한 것이므로, 제방붕괴가 예측되는 부분에 원상복구를 대비하여 비상측단을 설치 4. 생태측단 ⑴ 생태측단은 하천의 환경보전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제방의 한 요소로서, ..

1. 제방의 종류*

문제) 8. 고규격 제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4-1문제) 3. 제방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하시오. 87-4문제) 3. 제방의 종류와 구조 및 명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8-3문제) 1. 제방단면의 구조와 명칭, 제방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5-2문제) 10. 계획홍수량에 따른 제방여유고 및 예외 규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3-1문제) 2. 대규격제방(고규격, Super Levee)의 개념 및 설계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2-31. 제방의 구조 및 명칭2. 제방의 종류 (목적에 따른 분류 : 본부놀횡 윤가월 역도 대고육 파호)     ⑴ 본제(main levee) : 제방 원래의 목적, 하도의 양안에 축조하는 연속제   ⑵ 부제(secondary levee) : 본제가 파괴되었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