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Ⅳ.하천공학 60

46. 모니터링*

문제) 6. 하천사업에 대한 모니터링을 정의하고, 모니터링을 통한 평가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1-4 문제) 1. 하천환경사업 후 시행하는 모니터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6-4 하천사업에 대한 모니터링 - 하천의 생태계와 인접한 지역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해 수행되는 작업 - 하천사업이 추진되는 지역의 생태계 변화나 인접지역의 영향력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파악

45. 하천시설물의 유지관리 절차*

문제) 6. 하천시설물의 유지관리 절차를 크게 4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수행내용을 설명하시오. 102-2문제) 1. 하천시설물 중 빗물펌프장(토목시설, 펌프설비, 빗물펌프장 건물)의 점검 및 유지관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5-4문제) 1. 하천시설 유지․보수의 목적 및 절차(4단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5-2[출처 : 하천시설물 유지관리 매뉴얼(2005. 3 건설교통부)]1. 하천시설물의 유지관리절차 및 수행내용 : 사관이보2. 하천시설물의 특징  ⑴ 물과 접촉 빈도가 많아 시설물의 손상 및 노후화가 타 시설물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는 특징  ⑵ 하천시설물에 손상시 재해발생의 직접적인 원인  ⑶ 시설물 특성상 주요 손상이 수중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3. 결론  ⑴ 손상의 점검확인 ..

44. 지하수 인공함양 방법*

문제) 3. 지하수 인공함양 방법의 종류 및 특징을 설명하시오. 104-3 문제) 3. 지하수의 인공함양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6-1 1. 지하수 인공함양 ⑴ 정의 : 여유 수자원(강수, 지하수 및 하수처리수 등)을 관정, 인공함양분지 등의 인위적인 시설 또는 지표조건을 변경하여 강제로 지하로 침투시키거나, 불포화대 및 충적층의 투수성 및 정화능력을 이용하여 양질의 수자원을 확보하는 기술 ⑵ 목적 ① 수자원확보 : 지하수 개발량 증대, 지하저장 ② 수질개선 ⓐ 관개용수 개선(박테리아에 의한 탈질작용, 물리-화학반응에 의한 인산염의 제거 등) ⓑ 소독 부산물 감소 및 제거 : 트리할로메탄(THM), 할로아세트산(HAA)과 같은 소독 부산물 감소 및 추후 발생 가능성 억제 ③ 지하수위회복 ④ 지반침하방지..

43. 지하수 관정의 영향반경

문제) 10. 지하수 관정의 영향반경의 의미 및 적용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84-1 1. 영향반경(circle of influence area, radius of influence area) ⑴ 우물에서 양수할 때, 주위의 지하수위가 저하되지만, 우물을 중심으로 지하수위가 변화하지 않는 범위를 반경으로 그린 원(ro) 2. 영향원의 반지름 ⑴ 영향권 반경은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통상 150~300m의 값을 사용 3. 고려사항 ⑴ 지하수면의 수평 및 경사상태, 양수시간에 따라 변하므로 결정이 쉽지 않음 ⑵ 경험식을 많이 사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