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Ⅳ.하천공학 60

32. 침사지의 종류, 구성요소, 규모결정(소요용량 결정방법) 등

문제) 3. 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사 및 유송잡물 등의 제거, 하류로의 토사유출 감소를 위해 설치하는 침사지의 구성요소와 소요용량 결정방법에 대하여 논하시오. 84-2 문제) 2. 침사지의 종류, 침사지 규모결정방법 및 토사재해 저감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9-4 문제) 10. 침사지의 구성 중 토사 침전부. 90-1 문제) 4. 침사지의 구성요소와 소요용량 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2-2 문제) 4. 침사지겸 저류지의 저류공간 구성 및 제원 결정 방법을 설명하시오. 117-3 1. 침사지의 종류 ⑴ 설치 목적에 따른 분류(환경, 재해방지 침사지) ① 환경침사지 : 하류 공공 수역의 수질보전을 주목적 ② 재해방지침사지 : 하류 지역을 토사재해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주목적 ⑵ 기능에 따른 분류(간..

31. 사방댐의 형식 및 설계순서

문제) 5. 사방댐의 형식 및 설계순서, 위치와 높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9-4 문제) 1. 사방댐의 형식 및 설계순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6-4 문제) 1. 사방댐을 기능과 재료에 따라 분류하고 설명하시오. 102-4 1. 사방댐의 형식 ⑴ 형식(직아3부) ① 직선중력댐 : 가장 많이 사용 ② 아치댐 : 댐 길이가 높이의 3배 이내가 적당 ③ 3차원댐 : 계곡의 너비가 좁은 경우 이용 ④ 부벽댐 ⑵ 사용 재료에 따른 분류 : 콘크리트, 원형쉘, 철망재, 스크린사방댐 등 2. 설계순서 (위방 높기물, 댐어마 비너) ⑴ 위치결정 ① 계상 및 양안에 암반이 존재(∵월류수에 의한 하류 비탈끝 세굴 및 양안침식에 의한 파괴방지) ② 댐의 상류부는 넓고 Dam site가 좁은 곳 ③ 종/횡침식이 현저한 구..

30. 사방댐 목적별 분류*

문제) 5. 사방(砂防)댐을 목적별로 분류하고 목적에 해당하는 사항을 상세히 설명하시오. 90-4 문제) 4. 사방댐을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설치위치 등을 포함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3-3 문제) 2. 하천의 토사재해 방지시설인 사방댐의 분류 및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4-4 1. 사방댐의 분류(설치목적에 따른) ⑴ 사방댐의 설치목적에 분류 : 산종하 토석사유 가. 산각고정댐(산각(山脚) : 산의 아래부분) ① 목적 : 산각의 하상을 상승시키고, 이를 고정해서 산중턱의 붕괴예방 및 확대방지를 도모하고 토사발생을 억제하는 것 ② 설치위치 : 보전대책 산복의 직하류부 ③ 댐높이 : 산각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 ④ 일반사항 : 유출토사의 억제 및 조절을 겸할 경우..

29. 토석류의 종류

문제) 6.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하는 토석류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8-1 1. 토석류의 정의 ⑴ 집중호우 등으로 인하여 산사태가 발생하여 토사, 암석 또는 유목을 포함한 유수가 흘러 내려 가는 현상 2. 토석류의 특징 ⑴ 유수에 토사, 암석 등을 동반하므로, 물의 단위중량보다 커서 파괴력이 크며 피해가 큼 ⑵ 집중호우, 지진, 해일, 홍수나 태풍과 연계하여 발생할 확률이 큼 3. 토석류의 종류 : 사수 ⑴ 사면형 토석류 : 다량의 토사가 사면을 따라 흐름 ⑵ 수로형 토석류 : 다량의 토사가 계곡수로를 통해 흐름 ⑶ 일반적으로 사면형 토석류가 계곡을 흐르는 물과 합쳐지면서 수로형 토석류로 발전 4. 토석류 발생 주요 영향인자 ⑴ 지형적 요인 : 사면경사, 사면형상, 경사방향 ⑵ 지질학적 요인 : ..

28. 하구처리계획*

문제) 5. 하도의 하구처리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7-4 문제) 4. 하구막힘과 하구개량공법. 93-1 문제) 2. 하구막힘에 영향을 주는 인자와 하구막힘의 원인, 문제점, 처리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1-3 문제) 5. 하구처리계획시 고려사항 및 하구개량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0-3 1. 하구처리계획 개요 ⑴ 하구부는 하천과 바다의 경계이므로 여러 가지 복잡한 자연현상이 발생함 ⑵ 하구흐름 지배요인 : 하천류, 조류, 밀도류 ⑶ 하구폐색 : 하구에 사주가 발달하여 하천수의 유하가 하구에서 저해되는 현상 ⑷ 하구막힘 : 하천수의 자연유하가 하구에서 저해되는 현상 ⑸ 하구개량 : 하구막힘 현상이 발생했을 때 도류제, 암거 및 수문를 설치하거나 막힌 하상을 굴착하거나 준설하여 이와 같은 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