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3. 하천복원공법에 대하여 선행 검토사항 및 각 종류별 복원공법을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86-4
문제) 4. 하천복원사업의 기본방향과 설계 시 하천공간별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0-3
문제) 6. 하천복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2-4
1. 하천복원사업
⑴ 하천복원의 정의
① 생태계 복원/회복에 초점을 맞춘 하천복원의 정의(ERM : Ecological Restoration Model)
ⓐ 인위적인 교란으로 훼손된 하천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교란 전 상태에 가깝게 되돌리거나(복원),
새롭게 만들어 주는 것(회복)
ⓑ 생태계 구조와 기능이 복원되면 수질 자정 기능과 친수(어메너티) 기능은 어느 정도 회복
② 어메너티 복원에 초점을 맞춘 하천복원의 정의(ARM : Amenity Restoration Model)
ⓐ 인위적인 교란으로 훼손된 하천에 친수(어메너티)기능을 부여하여, 주변 환경에 맞게 새롭게 만들어 주는 것
ⓑ 친수성을 살리기 위해 생물서식처와 수질자정기능을 부분적으로 복원
ⓒ 어메너티 복원에 초점을 맞춘 하천복원은 역사, 문화 기능도 같이 복원
2. 하천복원공법 선정시 고려사항(≒하천보원공법 선행검토사항)
⑴ 공법의 효율성 : 공법이 복원의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조건
⑵ 물리적·생태적 적합성 : 구조적으로 대상하천에 적합하고, 하천의 고유특성에 생태적으로 적합한지에 대한 판단조건
⑶ 주변 여건과의 조화성 : 도심, 농경지, 산지 등의 주변 여건과의 조화되는지에 대한 판단조건
⑷ 지속가능성 : 대상하천에서 환경적·기술적으로 지속가능한지에 대한 판단조건
⑸ 경제성 : 적용된 공법이 경제적으로 타당한지에 대한 판단조건
⑹ 운영 및 유지관리 : 운영 및 유지관리에 적합한지에 대한 판단조건
⑺ 기타 : 복원공법에 대한 주민의 만족도, 역사 및 문화적 여건과의 적합성 등에 대한 판단조건
3. 하천복원공법 적용 주안점
⑴ 하안을 지킬 필요가 없는 곳은 자연 그대로 보전
⑵ 용지매수에 의한 자연하안 보전
⑶ 여울과 웅덩이 구조의 보전
⑷ 하천 연속성의 확보
⑸ 수변 구조의 보전
⑹ 수변 식생의 보전
4. 하천복원공법
⑴ 하도 및 수변서식처조성공법
① 여울, 웅덩이 조성공법 : 생태여울, V자형 여울, 돌무더기 공법
② 보 조성 및 개량공법 : 자연형 보, 계단형 낙차공·보, 레버린스 보, 자연석 활용한 다공성 보
③ 수제 조성공법 : 말뚝수제, 거석수제, 콘크리트 블록 수제
④ 습지조성공법 : 개방형 하도습지, 폐쇄형 하도습지
⑤ 토사퇴적을 유도한 자연하중도 조성공법
⑵ 저수 및 고수를 포함하는 호안공법
① 식생계 호안공법 : 표토 뿜기, 섬유보강 뿜기, 잔디깔기, 시트호안, 식생매트, 인공호안녹화
② 목재계 호안공법 : 목재방틀,
③ 망태계(바구니계) 호안공법 : 돌망태, 섬유방태공, 매트리스 개비온, 옹벽형 개비온, 식생자루
④ 자연석계 호안공법 : 말뚝 울타리호안, 자연석깔기, 전석쌓기, 스톤메트릭스,
⑤ 블록계 호안공법 : A-Jack, 잔디블록, 조립식 축조블록, 식생호안블록, 어소블록,
⑥ 기타 호안 : 토목섬유 몰탈을 이용한 호안공법
⑶ 수질개선공법
① 하천 유입 전 공법(제내지 적용공법) : 침투형 시설, 저류형 시설, 식생형 시설, 장치형 시설 등
② 하천 유입 후 공법(제외지 적용공법) : 자갈접촉산화공법, 식생정화공법, 하상여과법, 수중폭기법, 하상퇴적물 준설, 끈상접촉산화공법 등
⑷ 오염준설토 처리공법
① 화학적 추출 : 산이나 용매를 주입하여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을 분리
② 자력분리 : 준설토 내의 자성을 갖는 오염물질을 자력을 이용하여 분리
③ 미세토 선별공법 : 오염이 미세토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일정 입도 이하의 준설토를 재분리 및 선별하여 처리, 처분 대상을 최소화
④ 안정화 : 생물의 이용성을 감소시켜 위해성을 저감
5. 하천복원공사 시 주의사항
⑴ 시기와 공기를 고려한 공사계획 : 시공시기, 시공구간, 수중시공계획 등
⑵ 주변영향을 고려한 구조물 설치 : 가설구조물설치계획, 공사용 도로의 설치와 복원 등
⑶ 작업현장의 자연환경을 고려한 공사
① 수림 벌채 주의
② 주변환경에 대한 고려
③ 야생동물에 대한 고려
④ 분진발생 방지
⑤ 오수나 탁수 유출방지
6. 하천복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⑴ 과거 하천환경개선사업이 하천을 공원을 만드는 것으로 잘못 인식(공원하천)
⇛ 자연형 하천공법을 최대한 활용(자연형 하천)
⑵ 과거 하천환경개선사업시 호안 및 하상에 과다한 석재를 투입하여 하천을 고착화 시킴
⇛ 과다한 석재나 콘크리트 사용을 적극 지양(식생유도 호안)
⑶ 경사가 급한 도시하천의 홍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아 사업 시행중이나 후에 홍수 피해 발생
⇛ 도시하천의 홍수특성을 충분히 고려
⇛ 어메너티 복원모형(ARM)을 추천
⇛ 수충부 등에는 넓은 범위에서 돌망태, 개비온 등 견고한 자연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
⑷ 기존 평판이 좋은 국내외 하천환경복원사업 사례를 그대로 모방한 천편일률적인 사업
⇛ 개별 하천의 자연적, 사회적 특성에 최대한 맞도록 계획
⑸ 하천이 가지는 역동성을 고려하지 않은 인위적인 하천설계(저수로, 하중도 등)
⇛ ‘형태의 자연형’에 충실하면서, 하천의 역동성을 충분히 고려하도록 유도
(∵ 자연상태의 저수로를 인위적으로 정비 ⇛ 추후 발생한 홍수로 원래의 저수로 상태로 돌아올 수 있음,
인위적으로 하중도를 조성 ⇛ 홍수로 하중도가 침식되어 사라질 수 있음)
⑹ 하천복원 사업의 목표 불분명(단순히 공원하천이 되거나 도시하천이 될 수 있음)
⇛ 복원사업의 목적과 목표가 분명하고 지속가능한 계획을 하는 것이 중요
⇛ 생태복원모형(ERM), 어메너티 복원모형(ARM)에 초점을 둔 사업
7. 제언
⑴ 복원하천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유지 및 관리가 필요
① 복원하천 모니터링
ⓐ 복원 전의 모니터링 결과와 비교하여 복원 목적에 맞도록 유지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
ⓑ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 변화를 모두 포함하여 복합적으로 평가를 수행하여야 함
'수자원개발기술사 > Ⅳ.하천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 설계 VE*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 (0) | 2023.04.29 |
---|---|
40. 생태하천 복원계획 (0) | 2023.04.29 |
38. 자연친화적 하천정비 (0) | 2023.04.29 |
37. 자연형 하천정비 기법 (0) | 2023.04.29 |
36. 자연형 하천 (0) | 2023.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