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개발기술사/Ⅲ.하천계획

10. 수자원단위지도

견마지로 2023. 4. 1. 18:24

문제) 2. 수자원단위지도의 개념(대권역, 중권역, 표준유역)에 대하여 설명하고, 단위구역 설정시 유역분할기준에 대하여 설명. 108-2


1. 대권역 분할 기준 : 5대강 권역해안 지역, 제주도를 구분하여 기준 설정 (자환해이)

연적인 독립 대하천 : 쪽으로 백산맥, 남북쪽으로 두대간,

                                                      동쪽은 가파르고 짧은 하천이, 서쪽은 경사가 완만한 대하천이 발달

경적, 기후적 특징 : 남한 하천의 환경적 기후학적 특성, 수질 및 환경오염의 권역경계, 태풍으로 인한

                                                  기후학적 특징을 경계

안과 연안 지형학적 특징 : 서해안과 남해안의 유역은 서로 다른 해수간만의 차를 가지며,

                                                                서해안은 해수간만의 차가 남해보다 커서 감조하천의 영향을 받는 특징

와 같은 기준을 설정하여 5대강 권역 21개 대권역으로 구분

2. 중권역 분할 기준 : 대하천 내에서 하천들간 합류점들을 중권역 분할 기준으로 설정 (자해)

연하천의 합류점 : 대권역 본류를 기준으로 큰 지류하천들이 자연적으로 합류하는 지점

안의 섬 지역 : 남해의 다도해 및 서해안의 주요 큰 섬들을 묶어 하나의 중권역으로 구분하며, 중권역의 경계는 행정경계의 군경계로 함

3. 표준유역의 분할 기준 : , 주요 수위표,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 합류점, 작은 섬군은 묶어서 행정경계에 따라 표준유역 형성, 큰 섬의 경우 큰 하천을 중심으로 동, , , 북으로 하천을 묶어서 표준유역 형성

자연하천의 분할은 하천법상 경계를 따름

자연하천의 표준유역면적은 최소 50

     (, 5대강 본류로 유입되는 자연하천 중 유역특성상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하천은 예외로 함)

면적 50미만인 작은 섬 지역은 행정경계단위로 유역을 통합

면적이 큰 섬지역의 유역분할은 , , , 북으로 분할

내륙 해안지역은 유역면적이 최소 40이상이 되도록 하며, 행정경계(, 군 단위)단위로 유역통합

유효저수용량 5백만이상이면서, 유역면적이 50이상인 댐에서 분할

상기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댐 중 유역면적이 40이상, 유효저수용량이 천만이상인 댐에서 분할

분할된 유역면적이 50이상이 되는 지점에 위치한 수위표 지점에 대해 분할

     (, 5대강 본류 중 이수 및 치수 목적상 중요 수위표에 대해서는 예외)

홍수통제소별 최소 2개 이상의 주요수위표 지점에 대해서 분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