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Ⅲ.하천계획 86

62. 대체수자원*

문제) 1. 강변여과수. 92-1 문제) 1. 해수담수화. 93-1 문제) 5. 대체수자원 개발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8-1 문제) 4. 가뭄에 대처하기 위한 대체수자원의 필요성과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1-2 문제) 3. 기존 수자원에 비해 해수담수화의 장단점과 그 방식에 대해여 설명하시오. 111-4 『대체수자원의 개발(물과 미래 2012 제20회 세계물의 날 자료)』 1. 해양심층수 ⑴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이하의 해수 ⑵ 수온이 연중 3℃ 이하를 유지 ⑶ 해양식물성장에 필수적인 영양염류와 미네랄이 풍부 ⑷ 유기물이나 병원균 등이 거의 없는 청정한 해양수자원 2. 해수담수화 : 바닷물에서염분을 제거하여먹는 물로 만드는 것 ⑴ 해수의 담수화 방법(증발법, 막 여과법) ① ..

61. 수자원분야에서의 GIS 활용방안

문제) 7. 수자원분야에서의 GIS 활용방안. 87-1 1. GIS 이용 ⑴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지리적으로 분포하는 정보와 위치를 표시하는 공간정보와 성질을 표시하는 속성정보로서 관리, 이용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2. 이용항목 ⑴ 하천주제도 구축, 하천대장, 하천기본계획 등 ⑵ 다차원법(MD-FDA)에 의한 홍수조절 편익 산정 : GIS를 활용하여 침수심별 홍수피해액 산정 ⑶ 댐 붕괴 홍수파 해석절차 : GIS상에 해석결과 가시화(Mapping) ⑷ 풍수해 저감대책 수립 : 전 지역 단위 저감대책의 GIS를 이용한 사면재해 발생가능성 검토 ⑸ 지형해석 : 내삽단면의 표고치의 추정, 경사도, 사면방위의 산출, 수계의 판정, 가시영역의 판정, 낙수선 등의 축출 ⑹ 네트워..

60. 지하수자원 보전지구

문제) 9. 지하수자원 보전지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7-1 1. 지하수 보전구역의 지정 범위 ⑴ 법적 근거 : 지하수법 제12조(지하수보전구역의 지정) 및 동법 시행령 제19조 제5항 관련 ⑵ 지하수 보전구역의 지정 범위 ① 상류 주요 지하수함양원을 보호하기 위한 지역 ⓐ 지하수가 주로 함양되며 지하수의 수직흐름이 지배적인 지역으로서 수질이 양호하여 보호할 필요성이 있는 지역 ⓑ 지하수가 함양되는 지역 중에서 오염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 ② 주된 용수공급원이 되는 대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지역 ⓐ 대수층이 오염되는 경우 대체할 용수원이 없는 지역 ⓑ 대수층의 수질이 「먹는물관리법」 제5조에 따른 수질기준에 맞는 지역 ③ 공공급수용시설의 수질을 보호하기 위한 지역 ⓐ 공공급수용시설의 중심에서 반지름 5..

59. 지하하천 / 지하방수로

문제) 1. 지하방수로의 개념과 노선 선택시 주의사항을 서술하고 상시 및 홍수시 가동방수로의 장, 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6-2문제) 6. 하천시설중 지하하천을 정의하고, 지하하천의 구조설계시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1-3문제) 6. 지하방수로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2-3문제) 4. 하천수로터널의 수리특성 및 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5-3[방수로 설계 가이드라인(2008.12.29. 국토해양부)]1. 배경⑴ 최근 이상강우와 도시화로 홍수량 증가     (∵ 홍수도달시간이 짧지고, 침투의 감소로 지표면 유출량이 증가, 유역저류능력은 감소)⑵ 도시화로 인구, 자산, 산업, 생산 활동 집중화로 홍수피해가 급증⑶ 도시의 특성을 따라 시설부지 ..

58. 수문설계빈도(추정한계치방법, 주요구조물 설계빈도)

문제) 8. 추정한계치(Estimate Limited Value). 89-1 문제) 4. 수문설계기준(설계빈도) 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2-4 1. 수문설계빈도(수문학적 설계규모) ⑴ 고려사항 : 추정한계치(ELV) 방법과 주요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 고려하여 산정 ⑵ 추정한계치(ELV) 방법 ① 수공구조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빈도를 설정 ② 설계빈도 이상에 대해서는 수문기상학적으로 가능한 최대치를 추정하여 이용 (※ 추정한계치(ELV : Estimate Limited Value) : 최대로 가용한 수문정보를 바탕으로 발생 가능한 수문사상의 최대크기) ⑶ 주요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는 구조물의 위치 및 여건,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므로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음 2. 수문설계빈도의 선택 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