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Ⅲ.하천계획 86

54. 소하천환경계획(아름다운 소하천 가꾸기)

문제) 5. 아름다운 소하천 가꾸기를 위한 소하천 환경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2-4 1. 아름다운 소하천 가꾸기 ⑴ 소하천 환경계획의 기본사항 가. 소하천 환경계획은 하천의 환경적 기능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수립 나. 치수기능 확보 + 아름다운 소하천 가꾸기 개념 다. 하천의 3대 요소인 수량, 수질, 공간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립하되, 특히 유지유량의 확보와 수질개선, 아름다운 소하천 가꾸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 라. 소하천 환경계획은 기본구상, 하천시설물의 관리, 소하천 환경개선사업 실시에 관한 계획 등 기본적인 사항을 포함 마. (본류)하천의 계획과 일관성이 있도록 수립 : (본류)하천의 계획보다 간결하되 적극적인 지역주민의 참여를 강조 ⑵ 소하천 환경개선 및 보전 가. 목표 :..

53. 소하천 유형별 정비방향

문제) 5. 소하천 유형별 정비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1-3 1. 소하천 유형 2. 산지소하천 ⑴ 소하천 시점부에 사방댐의 설치 필요성을 고려 ⑵ 인근 상·하류의 자연상태 구간을 참조하여 정비형태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 ⑶ 산지소하천은 일반적으로 V자 형태의 급한 산지사면, 하안의 식생활착이 하천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 ⑷ 대부분 자연상태를 보존하는 방향으로 계획되는 것이 바람직 ⑸ 치수적 위험성이 있더라도 전면적인 제방계획은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 ⑹ 횡단 구조물의 충분한 통수능력과 공간을 확보 유무 확인 ⑺ 자연적인 상태의 여울과 웅덩이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안정하상의 설계를 고려 ⑻ 산지소하천의 충분한 유량확보는 하류 하천의 유량부족 해소를 위해 중요 3. 농경지소하천 ⑴ 충분..

52. 소하천의 특징

문제) 3. 우리나라 소하천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95-4 문제) 4. 우리나라 소하천의 특징을 수문·지형학적 및 재해발생 특징별로 구분해서 설명하시오. 99-2 1. 소하천의 특징(수문·지형학적 및 재해발생 특징별) ⑴ 수문·지형학적 특징 ① 상류부 : 산지와 농경지에 접한 계곡 ⇒ 하폭이 좁고 만곡도 크며 급경사 ⇒ 지반 침식이 심함 ② 중류부 : 농경 평야부를 관통, 마을에 인접 ③ 하류부 : 점차 완만한 유로, 기존의 법정하천과 합류 ④ 집수면적이 작고 유로연장이 짧으며 급류하천 ⑤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따라 매우 상이한 수문학적 특성을 가짐 ⓐ 산지 소하천 : 유역면적이 크고 급경사인 소하천이 많음 ⓑ 도시 및 농경지 소하천 : 유역면적이 작고 완경사인 소하천이 주로 나타남 ⑵ 재해발생 특징 ①..

51. 소하천정비종합계획

문제) 3. 소하천정비 종합계획, 소하천정비 중기계획, 소하천정비 시행계획의 주요내용을 설명하시오. 93-3문제) 13. 소하천정비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소하천 지정기준. 99-1문제) 2.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수립 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및 변경 시 경미한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5-21. 소하천정비법 제6조(소하천정비종합계획의 수립)   ⑴ 관리청은 행정안전부령에 따라 10년마다 수립하여 시ㆍ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함   ⑵ 소하천정비 종합계획의 수립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사항)   ⑶ 소하천정비법 시행령 제2조(소하천의 지정기준)     ① 소하천은 일시적이 아닌 유수가 있거나 있을 것이 예상되는 구역으로서        ⓐ 평균 하천 폭이 2m 이상이고       ⓑ 시점에서 종점까..

50. 유사조절계획

문제) 6. 유역 및 하천의 유사조절계획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0-4 1. 유사조절계획의 목적 ⑴ 토양손실 방지 : 과도하게 침식되어 유실되는 유사량을 조절하여 토양손실을 방지 ⑵ 유사에 의한 피해 예방 : 퇴적 유사에 의한 하도 불안정, 하상상승, 수질 악화, 저수지 퇴사 등 2. 유사조절계획의 필요성 ⑴ 토사 재해 예방 : 유역과 하도 내 토사 생산과 유출을 조절 ⑵ 유사에 의한 피해 예방 및 예방에 따른 처리비용 감소 3. 유역 유사조절계획 ⑴ 대상 유역 선정 및 계획규모 결정 ① 현재 유사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는 유역 ② 장래 인위적인 개발이나 변화로 토양침식량이 증가할 것 예상되는 유역 ⑵ 유역 유사 조사 ① 유역 수문과 유사 특성 조사 ② 유역 토양 유실량 조사(홍수 유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