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방재관련/방재전문인력인증시험(예상문제) 31

5.1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 정책 및 제도

1. 다음중 자연재해 종합계획의 도입 배경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기후변화 ② 도시화 ③ 비효율적 투자 ④ 예방 위주의 정책 ⑤ 도시계획 방재개념미흡 ※ 복구위주의 방재정책에서 예방개념으로의 전환필요 2.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 수립의 주요절차 사항이 바르게 나열된 것은 무엇인가? ① 계획작성 ⇛ 행정안전부 사전협의 ⇛ 공청회개최 ⇛ 전문가 검토회의 ⇛ 승인 및 공람ㆍ공고 ② 계획작성 ⇛ 공청회개최 ⇛ 행정안전부 사전협의 ⇛ 전문가 검토회의 ⇛ 승인 및 공람ㆍ공고 ③ 계획작성 ⇛ 공청회개최 ⇛ 전문가 검토회의 ⇛ 행정안전부 사전협의 ⇛ 승인 및 공람ㆍ공고 ④ 계획작성 ⇛ 행정안전부 사전협의 ⇛ 전문가 검토회의 ⇛ 공청회개최 승인 및 공람ㆍ공고 ⑤ 행정안전부 사전협의 ⇛ 계획작성 ⇛ 공청회개최 ⇛ 전문가..

4.3 소하천 정비사업 설계 실무

1. 다음중 괄호안에 A와 B의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소하천 정비법에 의거 일시적인 아닌 유수가 있거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구역으로서 평균하천폭이 (A)이상이고, 전체길이가 (B) 이상인 것으로 규정 ① A : 1.0m, B : 100m ② A : 1.5m, B : 300m ③ A : 2.0m, B : 500m ④ A : 2.5m, B : 800m ⑤ A : 3.0m, B : 1,000m 2. 법령상 소하천의 정의로 알맞은 것은? ① 국토보전상 또는 국민경제상 중요한 하천으로서 환경부장관이 그 명칭과 구간을 지정 ② 유역면적 합계가 200제곱킬로미터 이상인 하천 ③ 지방의 공공이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하천 ④ 관련법에 의해 지정관리되는 소규모 하천 ⑤ 재해예방과 생활환경개선을 위해 지정되는 하천 3..

4.2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수립

1. 소하천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설계기준 코드와 시공기준코드 중 옳은 것은? ① 설계기준코드(KDS 00 00 00) 시공기준코드(KCS 00 00 00) ② 설계기준코드(KDS 00 00 01) 시공기준코드(KCS 00 00 01) ③ 설계기준코드(KDS 00 01 00) 시공기준코드(KCS 00 01 00) ④ 설계기준코드(KDS 01 00 00) 시공기준코드(KCS 01 00 00) ⑤ 설계기준코드(KDS 01 01 01) 시공기준코드(KCS 01 01 01) 2. 다음중 소하천 설계기준 용어와 설명이 다른 것은? ① 기본홍수량 : 자연상태에서 흐르는 홍수량 중 홍수조절이나 유역개발의 기본이 되는 홍수량 ② 계획홍수량 : 기본홍수량을 분담 또는 조절한 후 홍수량이며 하도계획의 기준이 되는 홍수량 ..

4.1 소하천정비법 제도 등 이해

1. 소하천정비법과 맞지 않은 것은? ① 제정목적 : 재해예방 주민의 생활개선 ② 지정권자 : 시장, 군수, 구청장 ③ 기본성격 : 관리법 ④ 주요내용 : 정비 및 보존 ※ 기본성격은 정비촉진법임 2. 다음중 법령상 소하천시설이 아닌것은? ① 교량, 도로 ② 보, 수문 ③ 저수지, 저류지 ④ 제방, 호안 ⑤ 생태통로, 하천유지수 공급시설 3. 소하천정비법의 지정 고시 절차가 아닌 것은? ① 기초소하천관리위원회 또는 광역소하천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함 ② 지정 전에는 관계 전문가 및 당해 지역 주민으로부터의 의견 청취 ③ 10년마다 수립 5년마다 타당성 검토 필요시 변경 ④ 지정한 때에는 그 내용을 관리청의 공보 또는 게시판에 고시 ⑤ 고시한 때에는 고시한 날로부터 15일 이내 그 내용을 시 도지사에게 ..

3.6 재해복구사업 지역경제발전성평가

1. 재해복구사업의 분석·평가 대상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총리령으로 정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재해복구사업 ② 확정 통보된 재해복구계획 기준으로 300억 원 이상인 시·군·구 사업 ③ 복구비 산정에 용지보상비는 제외한다. ④ 천 동 이상의 주택이 침수된 시 군 구에 대한 복구사업으로 행정안전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업 ⑤ 재해복구사업 분석 평가 결과의 제출 절차 등에 관하여 세부기준은 행정안전부장관이 정한다. 2. 재해복구사업 경제성분석 평가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경제성 분석은 단기효과 분석과 중장기효과 분석이 있다. ② 단기효과 분석은 복구비, 집행효과, 기반시설정비효과를 분석한다. ③ 중장기효과 분석은 지역경제 성장률과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④ 복구비 집행효과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