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방재관련/방재전문인력인증시험(예상문제) 31

5.11 가뭄재해

1. 가뭄의 종류가 아닌것은? ① 수문학적 가뭄 ② 농업적 가뭄 ③ 도시문화적 가뭄 ④ 사회경제학적 가뭄 ⑤ 기상학적 가뭄 2. 수문학적 가뭄의 정의? ① 댐, 하천 등의 지표수와 지하수의 부족 ②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자원의 부족 ③ 강수량 증발산량 등 기상학적 수자원 부족 ④ 각종 용수의 수요에 대한 공급의 부족 ⑤ 각종 용수의 수요에 대한 공급의 과잉 3. 가문의 원인중 그 성격이 다른 하나는? ① 수자원시설물 부족 ② 용수 수급관리 체계 미흡 ③ 용수 공급관리 체계 미흡 ④ 계절에 따른 편기성 ⑤ 가뭄관리 체제 미흡 ※ 자연적인 발생원인 : 강수량의 경년변화, 계절에 따른 편기성, 지역적인 편기성 인위적인 발생원인 : 수자원시설 부족, 용수 수급 관리 체계 미흡, 가뭄관리 체제 미흡 4. 가뭄의..

5.10 대설재해

1.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폭설(눈)이 내리는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중위도 저기압의 발달 ② 찬 대륙고기압의 서해 또는 동해로의 이동 ③ 대기와 해수의 온도차 발생 ④ 한기를 동반한 상층 기압골의 통과 ⑤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과 차고 습한 오호츠크 저기압의 만남 2. 건설과 습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건설은 낮은 기온으로 건조하며 푸석 푸석한 눈이다. ② 건설은 눈 결정체 모양이 나뭇가지 형태로 밀도가 낮아 습설의 1/3 정도의 무게이다. ③ 건설은 건조해서 눈송이끼리 끌어당기는 힘이 작아 잘 뭉쳐지지 않는다. ④ 습설은 눈 결정체 모양이 육가형으로 밀도가 높아 건설에 비해 3배 무겁다. ⑤ 건설은 발로 밟으면 물이 베어 나와 부착력이 강해 전선에도 붙기 때문에..

5.9 바람재해

1. 태풍에 관한 내용이다 틀린 것은? ① 저위도 해역에서 발생하여 최대풍속이 17m/s이다. ② 해수의 온도가 높고 상층대기가 저기압인 저위도 해역에서 상승 회전 기류가 형성되어 중고위도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어 나타난다. ③ 태풍의 우측은 회전 풍속에 이동 풍속이 가해져 풍속이 증가한다. ④ 북반구에서 태풍은 시계 방향 회전류를 형성하며 이동한다. ⑤ 열대성 저기압으로서 강한 폭풍우를 동반한다. 2. 영향범위에 따른 태풍의 분류중 중형 태풍의 반경범위에 해당하는 것은? ① 100km 미만 ② 100~300km ③ 300~500km ④ 500~800km ⑤ 800km이상 3. 대기경계층과 난류에 관한 설명중 바르지 않는 것은? ① 태풍을 포함한 바람은 대기의 압력차 기온차 지구의 자전에 의해 발생한다. ..

5.8 해안재해

1. 해안재해의 검토대상이 아닌 것은? ➀ 월파 ➁ 파랑 ➂ 내수침수 ➃ 해안침식 ➄ 사리 2. 다음은 해안재해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해저지진 등에 의한 지진해일(쯔나미) ② 강풍에 의한 이상파랑 ③ 태풍이나 온대성 고기압에 의한 폭풍해일 ④ 해안침식 ⑤ 사고에 의한 해상 유류유출 3. 해안침식에 의한 재해의 원인이 아닌 것은? ➀ 항만 및 어항건설 ➁ 무분별한 하구 골재채취 및 항내 준설사의 유용 ➂ 하천으로부터의 표사 공급 또는 유출의 불균형 ➃ 외수위 영향으로 인한 문제로 인한 피해 ➄ 호안 또는 해안도로의 건설 4. 다음은 폭풍해일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지 않는 것은? ① 저기압 통과에 수반되는 기압변동에 의해 해수면의 높이가 변화하는 현상이다. ② 태풍 통과에 수반되는 바람등..

5.7 사면재해

1. 다음중 급경사지에 관한 설명중 틀린 것은? ① 옹벽 및 축대 ② 택지ㆍ도로ㆍ철도 및 공원시설 등에 부속된 자연 비탈면 ③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 인정하는 인공 비탈면, 자연 비탈면 또는 산지 ④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50m이상이고, 경사도가 34도 이상이며 길이가 20m이상인 인공 비탈면 ⑤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50m이상이고, 경사도가 34도 이상인 자연 비탈면 ※ 인공비탈면 지면으로부터 5m높이 이상이고, 경사도 34도이상 길이 20m이상 2. 급경사지 붕괴 및 산사태의 발생이력 중 배수시설 불량원인과 연관이 없는 것은? ① 간극수압증가 ② 물의 흐름에 따른 배수시설 위치 선정 오류 ③ 배수시설과 지반의 밀착불량 ④ 용량 및 통수단면 부족 ⑤ 배수시설간의 연결불량 ※ 간극수압 : 흙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