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Ⅴ.댐 68

8. 댐 분류

문제) 3. 댐을 목적, 기능, 수리구조, 재료 및 형식에 따라 분류하시오. 102-1문제) 2. 댐의 형식에 따른 분류와 형식별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4-21. 하천법 제39조 1항 1호  ⑴ 댐은 하천의 유수를 저류하거나 취수하기 위하여 설치한 구조물  ⑵ 기초지반부터 댐마루까지 높이 15m이상이거나, 총 저수용량이 2천만㎥이상인 구조물2. 댐의 분류(댐 설계기준(2011 국토해양부))  댐은 그 목적, 규모, 기능, 수리구조, 재료 및 형식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  ⑴ 목적에 의한 분류    - 이수(용수공급, 수력발전, 주운 등)측면, 치수(홍수조절, 사방 등)측면    ① 단일댐 : 위의 한 가지 목적으로 사용    ② 다목적댐 : 위의 두 가지 이상의 목적으로 사용  ⑵ 용도(기..

7. 댐 형식 결정요인*

문제) 6. 댐 형식 결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직접, 간접 인자별로 분류하여 서술하시오. 72-4 문제) 11. 댐 형식의 결정요인을 설명하시오. 98-1 문제) 3. 댐 형식의 결정을 지배하는 물리적 인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5-3 1. 댐 형식 결정시 고려인자 ⑴ 직접인자 ① 자연적 조건 : 댐 지점의 지형, 지질, 수문, 기상, 자연환경, 지진 등 ② 지역조건 : 축제재료의 부존도, 교통관계 등 ⑵ 간접인자 : 댐의 건설 목적, 규모, 공사기간, 기술력, 노동력, 건설장비 등 2. 댐 형식의 결정을 지배하는 물리적 인자(직접적인 고려인자) ⑴ 지형 - 양안이 높은 암반이며 협소 : 콘크리트 중력댐, 아치댐, 석괴댐 - 넓은 계곡으로 중장비의 진입용이 : 필댐 ⑵ 지질 및 기초상태 - 암반기초..

6. 댐 위치 선정시 고려사항*

문제) 4. 댐 위치 결정에서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5-3 문제) 5. 댐 위치 결정에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3-2 문제) 1. 댐 위치 결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 111-1 1. 댐 위치 결정에 고려할 사항 ⑴ 댐 개발 목적과 부합성 ① 용수공급, 홍수조절용 ⇒ 개발효과 및 저수량이 많은 중, 하류지역 ② 수력발전용 ⇒ 고낙차인 상류지역 ③ 다목적용 ⇒ 종합적인 검토 ⑵ 지형, 지질 등 자연조건 ① 하폭협소, 지반견고, 상류경사가 완만하여 저수용량이 커야 함 ⑶ 공사상의 문제점 ① 여수로 설치용이, 공사용 재료확보 용이, 기상조건, 수송조건이 양호해야 함 ⑷ 장래개발가능성과 연관성 : 용수수요 및 홍수조절계획 검토 ⑸ 단일댐 개발과 댐군 개발의 비교 : 저수용량과 공..

5. 댐 건설시 조사

1. 댐 건설을 위한 조사 ⑴ 조사목적, 조사대상, 지역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조사내용, 조사정밀도 등을 결정 ⑵ 조사수행 방법 ① 자료의 수집과 청취, 답사, 현장조사, 측량 등 ② 현장실험, 현지관측, 시공실험, 실내시험 등 2. 댐 조사계획의 수립(계획, 기본, 실시조사) ⑴ 계획조사 : 댐건설 후보지 결정 ① 목적 : 댐 후보지 타당성조사시 건설가능성 등을 판단, 댐건설 후보지(2~3개) 결정 ② 조사항목 : 수문, 기상, 지형, 지질, 입지조건 등 ③ 예비조사에서 타당성조사에 이르는 단계까지 필요한 사항 조사 ⑵ 기본조사 : 댐 건설 가능성 최종적 결정 ① 목적 : 댐 건설 가능성 최종적 결정 ② 조사항목 : 기본설계, 시공, 개략공사비 검토에 필요한 사항 조사 ⑶ 실시조사 : 설계를 정확하게 ..

4. 댐 희망지 신청제

문제) 4.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댐 희망지 신청제의 도입배경과 주요내용 및 추진체계(시행근거, 시향 및 운영관리 주체, 재원부담). 113-4 1. 댐 희망지 신청제 ⑴ 댐 건설을 희망하는 지자체가 주민의견 수렴(주민설명회 등)을 거쳐 국가에 댐 건설을 신청하는 제도 2. 댐 희망지 도입배경 ⑴ 댐 건설은 환경 문제, 지역 반대 등 사회적 갈등이 첨예 ⑵ 90년대 이후 댐 주변지역 주민 지원, 사회적 수용성을 확보한 댐 사업 추진 등 지속적인 정책 변화 도모 ⑶ 댐 사전검토협의회에서 댐 사업 타당성을 사전 검토 ⇛ 지역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토록 개선 ⑷ 국지적 물문제는 계속해서 발생 ⑸ 댐 계획 구상 단계부터 지역의 의견을 수렴하는 댐 희망지 신청제 도입 3. 댐 희망지 주요내용 ⑴ 정보제공 : 국가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