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Ⅴ.댐 68

13. 양수발전의 개념과 장점

문제) 9. 양수발전의 개념과 장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1-1문제) 6. 양수발전의 개념과 상부저수지 용량 결정 절차. 134-11. 양수발전 개념   ⑴ 화력, 원자력의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높은 곳으로 양수, 저장하여 전기수요량이 많은 시간대에 발전하는 방식  ⑵ 양수 및 발전의 종합효율은 약 70%임2. 양수발전 장점  ⑴ 부하의 급상승, 급강하에 대처하기 적절  ⑵ 펌프, 수차, 발전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방식도 있으나 근래에는 가역동수차(RPT)를 사용  ⑶ 저수지는 작은 반면 발전설비는 대용량화할 수 있기 때문에 첨두부하용으로는 가장 이상적임     3. 양수발전 종류  ⑴ 순식 양수발전 : 대부분을 차지, 하부지와 상부지의 2개 저수지로 구성되며,                     ..

12. 수력발전 분류 및 종류

1. 수력발전 분류기준 ⑴ 수력에너지는 수량, 낙차의 함수이므로 지형 및 수문조건에 따라 5개로 분류 2. 수력발전 종류 : 댐식(저류식), 댐-수로식, 수로식, 양수식, 유역변경식 ⑴ 댐식(저류식) ① 큰 댐을 만들어 유수를 저류, 조절 ⇛ 사용수량을 증가 ⇛ 댐고에 의하여 낙차를 얻는 방식 ② 하폭이 좁고 양안 및 하천바닥의 기초지반이 견고한 곳 ③ 저수용량이 큰 지점에 적합 ④ 일반적으로 조압수조가 없음(소양강 다목적댐 : 조압수조 있음) ⑤ 저수지 ⇒ 취수탑 ⇒ (조압수조) ⇒ 수압관 ⇒ 발전소 ⇒ 방수로 ⑵ 댐-수로식 ① 댐식(저류식)과 수로식 혼합하여 유량과 낙차를 얻는 방식 ② 특별한 지형조건이 아니면 댐과 터널 공사비의 중복으로 경제성이 떨어짐 ③ 댐 ⇒ 취수탑 ⇒ 터널 ⇒ 조압수조 ⇒ 수..

11. 이수용량 결정 및 댐의 운영

문제) 4. 댐(저수지) 용량을 목적과 기능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고, 댐에 의한 하류부 홍수규모를 저감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8-4 1. 댐에 의한 하류부 홍수규모를 저감시키는 방법(댐의 운영) ⑴ 한정된 활용용량을 이용한 홍수기 중의 댐운영 방법으로는 제한수위방식과 예비방류방식이 있음 ⑵ 국내 댐 규정은 제한수위방식을 기준으로 필요에 따라 예비방류도 허락하는 조합방식의 형태를 취함 ① 제한수위방식 : 저수지 수위를 일정수위로 유지,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홍수를 대비하는 방식) ② 예비방류방식 : 제한수위를 정하지 않고 이수목적에 비중을 두어 사용하다가 홍수예상시에만 예비방류로 저수지 수위를 낮추어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하는 방식 2. 다목적댐의 저수지 용량 ⑴ 저수지 용량 = 이수용량 + 치수..

10. 댐(저수지) 용량을 목적과 기능에 따라 구분 (저수지 용량 배분)*

문제) 6. 댐의 이상홍수용량 및 공용용량. 89-1문제) 10. 댐의 저수용량 결정방법. 92-1문제) 4. 댐(저수지) 용량을 목적과 기능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고, 댐에 의한 하류부 홍수규모를 저감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8-4문제) 3. 저수지의 용량배분과 댐 여유고 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2-3문제) 6. 댐 저수지의 운영과 관련된 수위와 배분용량에 대하여 셜명하시오. 105-4문제) 6. 저수지의 목적별 수위 및 용량배분(홍수기, 비홍수기)을 그림으로 작성하고 설명하시오. 113-2문제) 1. 다목적댐을 기준으로 댐의 수위와 용량의 배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6-2문제) 3. 다목적댐 저수지 용량배분의 수위 구분 및 설정 방법을 설명하고, 용량배분을 그림으로 나타내시오..

9. 콘크리트댐

1. 콘크리트댐 :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축조한 댐(block 타설방법) 2. 콘크리트댐의 분류 ⑴ 중력식(콘크리트 중력댐) ① 댐체의 자중만으로 댐의 안정을 유지하는 형식 ② 견고한 지반에 시공할 수 있음 ③ 설계 및 시공의 신뢰성이 높고, 유지관리가 편함 ④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공사비가 높음 ⑵ 아치식(아치댐) ① 댐체의 자중 및 역학적 아치작용으로 양안의 외력을 분담시켜 안정을 유지하는 형식 ② 댐 체적이 작고(재료 절감), 외관이 수려 ③ 암반이 매우 견고한 지역에 시공 ④ 구조특성상 여수로 형식에 제한을 받음(자유낙하) ⑤ 하폭이 좁은 골짜기에 적합 ⑥ 국내에는 적합한 지역이 드물며, 시공사례가 없음 ⑶ 부벽식 댐 ① 댐의 상류면을 부벽으로 받쳐 외력을 지탱하는 형식 ② 중력식에 비해 콘크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