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Ⅴ.댐 68

18. 댐 건설의 편익계산 방법

문제) 4. 댐 건설의 편익계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9-3 문제) 2. 댐 계획시 홍수조절편익의 계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2-2 1. 댐 건설로 인한 편익 : 댐 사업으로 얻어지는 이익발생, 손실감소 또는 편익증진을 의미 ⑴ 직접편익과 간접편익 ① 직접편익 : 사업효과가 바로 나타내는 것, 댐 건설로 인한 이익증가나 손실감소를 의미 가. 직접편익의 산정방법 - 사업유무에 따른 효과차이를 평가하는 방법 - 최적 대안에 소요되는 비용을 평가하는 방법 나. 생·공·농업용수, 홍수조절, 수력발전 편익 등이 대표적이며, 최근에는 레크레이션, 수질개선, 비상용수, 내륙주운 등도 포함 ② 간접편익 : 댐 건설로 인하여 파생되거나 유발되는 2차 편익 가. 사회적 편익 : 사업지역 및 인근지역의 주민생..

17. 댐 건설 비용

1. 비용의 정의 및 분류 ⑴ 비용 : 투자사업으로 인한 직접, 간접비용 및 외부비용 ⑵ 댐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 : 직접비, 간접비, 유형비용, 무형비용으로 분류 ⑶ 비용 = 총사업비 + 유지관리비(OM&R)로 구분 (∵총사업비 = 공사비 + 보상비, 부대비, 정비사업비 등) 2. 총사업비 ⑴ 총사업비 : 공사비, 보상비, 부대비, 정비사업비, 건설기간 중 이자 ① 공사비 : 각 공종별로 산출(순공사비, 일반관리비, 이윤, 공사손해보험료, 부가가치세를 포함) ② 보상비 : 사업지역의 용지구입비, 지장물 보상비, 이설도로, 철도건설비, 보상관리비를 포함 ③ 부대비 : 조사설계비와 공사관리비(공사감리비 포함)로 구성 ④ 정비사업비 : 댐 건설기간동안 실시되는 정비사업에 소요되는 비용 ⑤ 건설기간 중 이자 ..

16. 댐 / 저수지 운영방법 (모의운영기법)*

문제) 5. 홍수시 댐/저수지의 운영방법(Reservoir Operation Method)의 종류를 들고, 각각을 설명하시오. 84-3 문제) 6. 홍수 시 댐 운영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7-4 문제) 3. 홍수 시 댐, 저수지 운영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9-2 1. 홍수조절방법 분류 (자연, 일정량, 일정율, Auto ROM, SRC, (수정)Rigid ROM, Technical ROM) ⑴ 자연조절방법 ① 문비가 있거나 없어도 개도를 일정하게 하여 홍수를 조절하는 방식 ② 인공조작을 하지 않아 유지관리 용이 ③ 소유역의 댐 및 홍수조절 용량이 작은 댐에 적용 ⑵ 일정량 조절방법 ① 처음에는 유입량을 그대로 방류하고 일정 규모 이상의 유입량에 대해서는 저류하는 방식 ② 대규모 홍수에 효과적..

15. 저수지 모의운영

1. 저수지 모의운영 ⇒ 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을 판단하기 위하여 저수지를 모의로 운영하는 것 ⑴ 이수목적의 운영대상 : 유효저수용량(저수위(LWL) ~ 상시만수위(NHWL)의 용량) ⑵ 고려 대상 : 50년간 퇴사량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임 2. 저수지 모의운영의 단계별 방법 ⑴ 예비조사 단계 ⇒ 유입량누가곡선 또는 조절도 등 약산법의 적용이 가능 ⑵ 타당성조사 단계 ⇒ 여러 개의 저수지가 연계되는 경우 대상지역의 월별 용수수요를 고려하여 상류에서부터 운영조건에 맞게 축차적계산을 통하여 용수공급능력을 결정 3. 저수지 모의운영의 계산단위 및 계산기간 ⑴ 계산단위 ① 실측 유입량 자료가 있는 경우 : 월별 혹은 순별 ② 실측 유입량 자료가 없는 경우 : 월별 ⑵ 계산기간 ① 저수지 조작기간은..

14. 댐의 홍수조절용량 결정

1. 댐의 홍수조절용량 결정 ⑴ 홍수조절효과 검토 : 수문, 수리 ⑵ 홍수피해액 산정 : 경제성 검토 ⑶ 최적홍수조절용량 결정 ⑷ 홍수조절용량의 대안별 소요비용 ⇛ 하류의 홍수피해 경감액을 비교·검토 ⇛ 최적홍수조절용량 및 조절방식 검토 ① 안별 소요비용 : 상류지역 수몰보상비, 댐규모별 비용 ② 홍수피해 경감액 : 홍수조절 편익 ⓐ 홍수량-하도추적 ⓑ 주요지점별 홍수조절로 인한 홍수위저하량 산정 ⇛ 조절 전·후 수위별 홍수피해액 곡선 ③ 조절방식 ⓐ 상시만수위 / 제한수위 ⓑ ROM : Auto ROM, Rigid ROM 등 ⓒ 저수지 홍수추적 ⑸ 댐 하류 홍수규모 저감(홍수조절 형태·목적) ① 최대유량 저감 ② 일정량 이상 유량의 지속기간 단축 ③ 홍수파형 변형 ⑹ 댐의 홍수조절 개선을 위한 문제점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