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방재관련/요약 14

제8편 재해유형구분 및 취약성 분석·평가

1. 내수재해 발생원인 (1) 우수관로의 배수배제 능력 부족 (2) 외수위 상승 (3) 역류방지시설 미설치 (4) 빗물펌프장의 용량 부족 2. 토사재해 발생양상 (1) 산지침식에 따른 산지황폐화 (2) 침식된 토사에 의한 하천통수능 저하 3. 해안재해 발생양상 (1) 표사이동수지 불균형에 의한 광범위한 해안침식 발생 (2) 폭풍해일 또는 고파에 의한 재해 (3) 해저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에 의한 재해 4. 해안침식이 발생 가능한 지역 (1) 인근에 항만 및 어향이 건설된 지역 (2) 인근에 호안 및 해안도로 건설 지역 (3) 하구 골재채취 및 항내 준설사의 유용 (4) 연안지역의 개발(배후지의 개발) 5. 내수배제 중 내수위가 외수위보다 높은 경우 우수관로, 배수로, 고지배수로 등으로 배제하는 방식 :..

방재관련/요약 2023.03.09

제7편 재난대응 및 복구대책기획

1. 대응 (1) 인명구조와 재난손실의 경감 및 복구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련의 행동 (2) 재난관리 단계 중 시간적으로 가장 짧은 활동으로 이를 위해 오랜 시간 노력을 기울여 준비 2. 복구 : 재난 발생 이전의 원상태로 회복 3.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은 국가 위기관리 기본지침을 근거로 작성 4. 국가 위기관리 지침에 따른 위기경보 4단계 (1) 관심 → 주의 → 경계 → 심각 (2) Blue → Yellow → Orange → Red 5. 재해 재발을 방지하고 원인이 되었던 상태 및 행동을 조사 : 재해조사 6. 설계·관리자의 수해내구성강화 등 안전성확보를 위한 시설 기준 : 수방기준 7. 상습침수지역 및 홍수피해 예상지역에 대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홍수방어기준 : 지구단위홍수방어기준 8. 행정안..

방재관련/요약 2023.03.09

제6편 재난예방 및 대비대책 기획

1. 재난 : 자연현상이나 인적사고로 인하여 국민의 생명·신체·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 (1) 자연재난 (2) 사회재난 2. 재난관리 단계 4단계 : 예방, 대비, 대응, 복구 (1) 예방 : 위험에 대한 취약요소를 사전에 제거 (2) 대비 : 재난 발생 시 대응을 용이하게 하는 사전 준비 활동 (3) 대응 : 시간적으로 가장 짧은 활동 (4) 복구 : 재난 발생 이전의 원상태로 회복 3. 재난관리 원칙 : 사전대비원칙, 현장중심원칙, 지휘통일원칙, 정보공유원칙, 상호협력원칙 4. 재난의 특성 : 상호작용성, 복잡성, 불확실성 (1) 상호작용성 : 재난의 특성 중 서로 악영향을 미쳐 피해가 확산 (2) 복잡성 : 불확실성과 상호작용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행정체계가 처리해야 할 업무를..

방재관련/요약 2023.03.09

제5편 재해저감대책 수립

1. 자연재해대책법 : 재해영향평가 등의 협의제도 시행을 명기한 법 2. 자연재해에 영향을 미치는 행정계획 : 재해영향성 검토 (협의기간 : 30일) 3. 자연재해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사업(길이 10km이상) : 재해영향평가 (협의기간 : 45일) 4. 자연재해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사업(길이 10km미만) : 소규모재해영향평가 (협의기간 : 30일) 5. 재해영향평가 재협의 대상 기준 (1) 개발면적이 30% 또는 50,000㎢이상 증가하는 경우 (2) 영구적으로 설치하기로 협의한 저류시설 용량이 10%이상 변경되는 경우 (3) 불투수층의 면적이 10%이상 증가하는 경우 6. 재해영향평가 등의 협의에 있어 구분하는 공간적 특성의 개념 : 점개념, 선개념, 면적개념 7. 영구구조물은 50년 빈도이상, 임시..

방재관련/요약 2023.03.09

제4편 재해유형별 전산 프로그램 운용

1. 임계지속기간 (1) 홍수소통형 구조물의 경우 첨두홍수량이 발생하는 강우지속기간 (2) 저류형 구조물의 경우 최대 저류용량 및 홍수위가 발생하는 강우지속기간을 임계지속기간으로 결정 2. 하천수리해석 절차 : 대상하천의 상하류 경계조건 입력, 수리해석 방법 결정, 하천수리해석 결과 확인 3. 내수재해해석을 위한 홍수량 산정방법 : Clark단위도법, 시간-면적방법, 비선형저수지 방법 등 4. 내수재해 분석 중 수리해석에 활용되는 프로그램 : XP-SWMM, EPA-SWMM, MIKE, MOUSE, FFC2 모형 등이 있으며, 실무에서는 주로 XP-SWMM을 사용 5. 사면위험도 분석 전산프로그램 : SINMAP(Stability Index Mapping) 6. SINMAP의 입력 매개변수 : 중력가속도..

방재관련/요약 2023.03.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