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89

2004년 1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2004년 1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24. 장대교 시공밥벙 중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는 공법 4가지. [ FCM. MSS. ILM. PSM. ] ① FCM(캔틸레버) 공법. ② MSS(이동식 비계) 공법. ③ ILM(압출) 공법. ④ PSM(프리 캐스트 세그먼트) 공법. 25. 터널을 굴착함에 있어 용수대책공법 4가지. [ 웰. 약. 주. 동. 물갱. 물보. 압. ] ① 웰포인트. ② 약액주입공법. ③ 주입 공법. ④ 동결공법. ⑤ 물빼기 갱 설치공법. ⑥ 물빼기 boring 설치공법. ⑦ 압기공법. 26. 케이슨 시공방법종류 3가지. [ 박. 오. 공. ] ① 박스 케이슨. ② 오픈 케이슨. ③ 공기 케이슨. 27. 말뚝 기초 시공에서 부마찰력을 줄이는 방법 3가지. [ 표. 역. 이. 프. ] ① 표면..

2003년 4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2003년 4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13. RAR 분류에서 고려되는 사항을 4가지. [ R. 지. 불간. 불상. ] ① RQD (암질지수). ② 암석강도. ③ 지하수 상태. ④ 불연속면(절리)의 간격. ⑤ 불연속면(절리)의 상태. 14. NATM 공법에 있어서 shotcrete의 rebound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3가지. [ 습. 노. 압. 단시. 단수. 잔. 굵. 분. ] ① 습식공법 사용. ② 노즐을 벽면과 직각으로 분사한다. ③ 압력을 일정하게 한다. ④ 단위 시멘트량을 크게 한다. ⑤ 단위 수량을 크게 한다. ⑥ 잔골재율 크게 한다. ⑦ 굵은 골재최대치수 작게한다. ⑧ 분사 부착면을 거칠게 한다. 15. 동상이 일어나기 쉬운 조건 3가지. [ 동. 물. 영. 모. ] ① 동상을 받기 쉬운 흙(실트..

2003년 2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2003년 2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1. 강상자형교 box 단면의 구성형태. [ 단. 다. 다. ] ① 단실박스. ② 다실박스. ③ 다중박스. 2. 고장력볼트의 일반적인 파괴형태. [ 전. 지. 인. ] ① 전단파괴. ② 지압파괴. ③ 인장파괴. 3. 어스드릴 공법의 시공방법. [굴. 케 .벤. 슬. 철. 콘.] ① 굴착작업. ② 케이싱의 삽입. ③ 벤토나이트 주입. ④ 슬라임처리. ⑤ 철근망태 삽입. ⑥ 콘크리트 타설. ⑦ 케이싱 뽑기. 4. 널말뚝에 사용되는 Anchor 종류. [ 수. 타. 앵. 경. ] ① 수직앵커말뚝. ② 타이 백 앵커. ③ 앵커판과 데드맨. ④ 경사 말뚝에 의해 지지되는 앵커보. 5. 도심지 지하 굴착공사에서 계측기의 종류를 5가지. [ 토. 지. 지. 지. 변. ] ① 토압계..

제11편 방재사업 타당성 및 투자우선순위 결정

1. 방재사업에서 사용하는 경제성 분석지표 (1) 비용-편익비(B/C) (2) 순현재가치(NPV=B-C, Net Present Value) (3) 내부수익률(IRR, B=C) 2. 간편법과 다차원법의 피해액 산정시 동일한 방식으로 산정하는 항목 : 인명피해액 3. 공공투자사업의 편익을 산정할 때 해당되는 종류 3가지 이상 : 직접편익, 간접편익, 유형편익, 무형편익 4. 최적규모 결정의 제1원칙 : 사업규모에 따른 순편익이 최대 5. 할인율 : 미래에 발생하는 편익과 비용을 현재의 가치로 환산 6. 직접편익에 해당 되는 항목 : 침수피해감소, 인명손실감소, 공공시설피해감소 7. 간편법의 편익 산정 항목 : 농경지, 농작물, 인명손실 8. 방재사업의 투자우선순위 결정시 기본적 고려항목 : 효율성, 형평성,..

방재관련/요약 2023.03.09

제10편 재난피해액 및 방재사업비 산정

1. 재산피해액 산정시 홍수빈도율을 사용하는 피해액 : 인명피해액, 이재민피해액, 기타피해액 2. 재해연보 피해주기 : 30년 3. 침수면적은 침수흔적도와 침수예상도를 기준 4. 홍수피해액 산정을 위한 공간정보 분석의 기초자료항목 : 침수구역도, 행정구역도, 토지피복도, 수치지도 5. 침수면적별로 재난 피해액을 산정 : 개선법 6. 홍수빈도별로 침수면적-침수피해-침수심을 고려 : 다차원법 7. 최근 5년간 자료 중 최대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3년간의 평균값을 적용해서 산정 : 농작물자산 8. 침수면적-피해액 관계로부터 산정하는 개선법의 피해 항목 : 인명 피해액, 이재민 피해액, 농작물 피해액, 농경지 피해액 9. 침수면적-침수심을 고려해서 재난피해액 산정하는 방법 : 다차원법 10. 개선법의 사망자 피해..

방재관련/요약 2023.03.09

제9편 재해위험 및 복구사업 분석·평가

1. 소하천설계기준 도시지역 관류 설계빈도 : 50년 ~ 100년 2. 암반비탈면 파괴형태 : 원형파괴, 쐐기파괴, 전도파괴 3. 3차원에 놓은 불연속면이나 절개면을 2차원적인 평면상에 투영하여 암반사면 안정성해석 : 평사투영해석 4. 평사투영해석을 위한 암반절리면의 입력인자 : 주향, 경사, 내부마찰각 5. 사면재해 위험도 평가기법 : 한계평형해석, 로지스틱회귀분석, 무한사면해석 6. 해안재해 위험지구 후보지로 해안지반고가 낮은 저지대 주거지역을 선정함에 있어 기준이 되는 바다 조위 : 대조평균고조위 7. 외해로부터 내습하는 파랑이 천해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발생하는 변형의 주요 원인 : 천수변형, 굴절, 반사 8. 전지역단위 바람재해 위험풍속산정에 활용되는 모형 : 지형할증모형, 지표조도모형, 균일강풍..

방재관련/요약 2023.03.09

제8편 재해유형구분 및 취약성 분석·평가

1. 내수재해 발생원인 (1) 우수관로의 배수배제 능력 부족 (2) 외수위 상승 (3) 역류방지시설 미설치 (4) 빗물펌프장의 용량 부족 2. 토사재해 발생양상 (1) 산지침식에 따른 산지황폐화 (2) 침식된 토사에 의한 하천통수능 저하 3. 해안재해 발생양상 (1) 표사이동수지 불균형에 의한 광범위한 해안침식 발생 (2) 폭풍해일 또는 고파에 의한 재해 (3) 해저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에 의한 재해 4. 해안침식이 발생 가능한 지역 (1) 인근에 항만 및 어향이 건설된 지역 (2) 인근에 호안 및 해안도로 건설 지역 (3) 하구 골재채취 및 항내 준설사의 유용 (4) 연안지역의 개발(배후지의 개발) 5. 내수배제 중 내수위가 외수위보다 높은 경우 우수관로, 배수로, 고지배수로 등으로 배제하는 방식 :..

방재관련/요약 2023.03.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