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603

24. 수질관리

문제) 9. 하천의 수질관리시 유의사항. 86-1 1. 하천수질관리 ⑴ 수질오염 구분 : 생활하수, 공장 및 사업장의 폐수, 축산폐수 및 농경지 배수 등으로 구분 ⑵ 각 오염원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장래부하량 및 하천의 자정능력 등을 조사해야 함 ⑶ 하천의 수리수문 특성과 물리적 정화기법, 화학적 정화기법, 생물학적 정화기법을 검토하여 해당하천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조합하여 수립 2. 수질오염 가. 하천의 수질오염원 : 질소(N), 인(P), 탄소(C) ․ 점오염원 : 생활하수, 산업폐수, 가축폐수 ․ 비점오염원 : 비료, 농약으로 인한 토지오염에 의한 폐수 갈수시에는 도시하수, 산업폐수 등이 오염량의 대부분을 차지 나. 수질오염 방지대책 ⑴ 유역 및 하천 유입전의 대책 ․ 하수도정비 / 보급..

23. 수질조사

문제) 11. 호수의 수질조사를 위한 채수지점 결정시 고려사항. 93-11. 호수의 수질조사를 위한 채수지점 결정시 고려사항 ⑴ 호소에서의 채수지점은 아래와 같은 사항을 참조하여 결정 (대충 유취폐하 온용자인) ① 수역전체의 특성을 가장 대표할 수 있는 지점(호심 또는 가장 깊은 곳 등) ② 주요 유입하천수가 유입된 후 충분히 혼합되는 지점 ③ 호소수가 유출되는 지점 ④ 호소수를 취수하는 지점 ⑤ 폐수나 하수의 유입으로 항상 오염이 우려되는 지점 ⑥ 호소로 온천수나 용천수가 유입되는 지점 ⑦ 호소는 자연호와 인공호로 구분하고, 형태나 물의 체류시간에 따라 채수지점 및 채수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자연호에서는 바람 등에 기인하..

22. 하천차수

문제) 11. 하천차수. 87-1 1. 하천차수(stream order) ⑴ 계량지형학 : 유역의 복잡한 지형 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 ⑵ 유역의 계량지형학적 특성분석은 Horton이 제안, Strahler가 수정 보완 ⑶ 하천차수를 결정하는 방법 : Strahler 방법, Horton 방법, Gravelius 방법 등 2. Strahler 방법 ⑴ 하천을 합류점에서 합류점까지의 구간으로 구분 ⑵ 지류를 갖지 않는 수원의 세천을 1차 하천이라 하고, 2개의 1차 하천이 만나면 2차 하천, 다시말하면 2개의 2차 하천이 만나면 3차 하천이 됨 ⑶ 단, u차 하천이 u차보다 작은 차수의 하천과 만날 경우에는 u차 하천의 차수는 불변임 ⑷ Horton 방법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류의 차수가 수원까지 거슬러..

21. 하상계수, 유황계수

문제) 6. 하상계수, 유황계수. 95-1문제) 5. 유역개발에 따른 하천환경변화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20-3 1) 도시화 전·후 수문학적 환경변화를 수문곡선을 작성하여 설명하시오.(수문환경변화의 내용, 수문환경변화의 원인, 환원방법 등) 2) 평상시 도시하천수량의 변화를 도시화 전·후로 설명하고 하상계수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수문환경변화에 따라 하도 단면의 변화를 도시화 전·후로 비교하여 설명하시오.문제) 1. 하상계수(河狀係數). 123-1문제) 9. 하천의 하상계수 및 유황계수. 134-11. 하상계수 (유량변동계수) ⑴ 하상계수는 하천의 어느 지점의 특정년도의 최대유량과 최소유량의 비 ⑵ 하상계수(유량변동계수)=유량변동계수=유량비= ⑶ 하상계수는 하천 ..

20. 유역특성

문제) 8. 유역의 기후가 유출에 미치는 영향. 86-1문제) 10. 유역형상계수. 87-1문제) 3. 유역의 형상이 단위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9-2문제) 7. 유역형상계수가 큰 유역과 작은 유역의 유출특성 비교. 123-11. 기후 인자 (강차증발산) ⑴ 강수(precipitation) ① 유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 ② 강수의 종류(비, 눈, 서리 등) 및 형 ③ 강우강도, 지속기간, 생기빈도 ④ 시간 및 공간적 분포, 이동 방향 등은 유출에 영향 ⑵ 차단(interception) - 식생피복에 의해 일단 저류되는 현상, 유출을 감소시키는 역할 ⑶ 증발 및 증산(evapotranspiration) - 유출을 감소시키..

19. 하천기본계획과 하천정비시행계획을 위한 측량

문제) 2. 하천기본계획과 하천정비시행계획을 위한 측량을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92-2 ■ 하천기본계획을 위한 측량 1. 골조측량 ⑴ 골조측량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매설한 기본삼각점을 바탕 ① 점간거리 1㎞이상의 기준을 결정하는 경우 : 삼각측량, 삼변측량에 의해 실시 ② 점간거리 300m 전후의 기준을 결정하는 경우 : 다각측량 ⑵ 골조측량은 가급적 영구표석을 매설하고, 측량의 성과는 지적 기준점의 성과와 일치해야 함 2 . 지형현황측량 ⑴ 지형현황측량 : 도근점 등 측량 기준점의 성과를 바탕으로 지상의 지형지물 및 경계 등을 측량하고 도시하는 것 ⑵ 평판 또는 항공사진측량에 의해 실시 ⑶ 지형현황측량의 축척은 1:1,200~1:5,000을 원칙으로 하되, 현지 실정에 따라 조정 ⑷ 하천측량의 정확도는 ..

18. 폐천부지 지정기준과 관리계획*

문제) 3. 하천의 폐천부지 지정기준 및 관리계획. 111-1 문제) 1. 폐천부지의 처리방안 및 처리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0-2 문제) 2. 소하천 폐천부지 관리사항과 용도폐지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3-3 1. 폐천부지 지정기준 ⑴ 하천공사 또는 홍수, 그 밖의 자연현상으로 하천의 유로가 변경되어 하천구역에서 제외된 국·공유인 토지 ⑵ 폐천부지등의 발생일부터 3년 이내에 이를 고시 ⑶ 발생한 폐천부지 등은 치수 및 하천환경보전 등의 목적에 우선적으로 활용 2. 관리계획 ⑴ 보전 ① 치수 ② 하천환경 ③ 기타활용 ⑵ 처분 ① 교환 ② 양여 ③ 용도폐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