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1. 호수의 수질조사를 위한 채수지점 결정시 고려사항. 93-1
1. 호수의 수질조사를 위한 채수지점 결정시 고려사항
⑴ 호소에서의 채수지점은 아래와 같은 사항을 참조하여 결정 (대충 유취폐하 온용자인)
① 수역전체의 특성을 가장 대표할 수 있는 지점(호심 또는 가장 깊은 곳 등)
② 주요 유입하천수가 유입된 후 충분히 혼합되는 지점
③ 호소수가 유출되는 지점
④ 호소수를 취수하는 지점
⑤ 폐수나 하수의 유입으로 항상 오염이 우려되는 지점
⑥ 호소로 온천수나 용천수가 유입되는 지점
⑦ 호소는 자연호와 인공호로 구분하고, 형태나 물의 체류시간에 따라 채수지점 및 채수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자연호에서는 바람 등에 기인하는 순환류
ⓑ 인공호에서는 하천의 유하방향으로써 일정흐름이 지배적인 경우가 많음
⑧ 호소의 수심이 3m이상으로 수심방향의 수질 변화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표층(수면에서 0.5m~1.0m 깊이),
변수층 또는 중층(전수심 1/2깊이) 및
하층(저니토 표면으로부터 위로 0.5~1.0m 깊이)에서 채수
(수심이 3m이하인 경우에는 중층 및 하층 채수는 생략할 수 있음)
![](https://blog.kakaocdn.net/dn/kCLpD/btr73oNnef1/uugn9irhNfVScx6rMTuIW0/img.png)
'수자원개발기술사 > Ⅲ.하천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자정작용과 부영양화 (0) | 2023.04.04 |
---|---|
24. 수질관리 (0) | 2023.04.04 |
22. 하천차수 (0) | 2023.04.03 |
21. 하상계수, 유황계수 (0) | 2023.04.03 |
20. 유역특성 (0) | 202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