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재관련/요약

제9편 재해위험 및 복구사업 분석·평가

견마지로 2023. 3. 9. 21:11

1. 소하천설계기준 도시지역 관류 설계빈도 : 50년 ~ 100년

2. 암반비탈면 파괴형태 : 원형파괴, 쐐기파괴, 전도파괴

3. 3차원에 놓은 불연속면이나 절개면을 2차원적인 평면상에 투영하여 암반사면 안정성해석 : 평사투영해석

4. 평사투영해석을 위한 암반절리면의 입력인자 : 주향, 경사, 내부마찰각

5. 사면재해 위험도 평가기법 : 한계평형해석, 로지스틱회귀분석, 무한사면해석

6. 해안재해 위험지구 후보지로 해안지반고가 낮은 저지대 주거지역을 선정함에 있어 기준이 되는 바다 조위 : 대조평균고조위

7. 외해로부터 내습하는 파랑이 천해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발생하는 변형의 주요 원인 : 천수변형, 굴절, 반사

8. 전지역단위 바람재해 위험풍속산정에 활용되는 모형 : 지형할증모형, 지표조도모형, 균일강풍모형

9. 재해복구사업의 분석·평가 기준일은 재해복구사업을 시행한 다음 연도 말일이다.

10. 재해복구사업의 분석·평가 방법 중 내수침수지구 재해저감성 평가의 복구효율 분석시 고려사항

   (1) 효율성 

   (2) 형평성

   (3) 일관성

11. 재해복구사업 분석·평가의 지역성장률 평가항목 : 인구변화율, 고용변화율, 지역사회성장율, 지역낙후도, 지역경제성장율

12. 분석·평가 단계에서 해당 지역의 사업효과를 평가하는 지표 : 재해저감성, 지역경제발전, 지역주민 생활쾌적성

13. 토사 사면활동 붕괴형대 종류 4가지 : 회전활동, 병진활동, 복합적 활동, 유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