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개발기술사/Ⅰ.수문학

12. 면적확률강우량

견마지로 2023. 3. 12. 00:05

문제) 6. 강우의 시간적, 공간적분포 방법.  108-1


1. 평균우량깊이-유역면적 관계

  강우가 유역 전반에 걸쳐 균일한 경우는 거의 없음

    ① 강우량은 호우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

        ⇛ 호우중심으로부터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면적강우량은 점점 감소

  ⑵ 공간분포 및 이동 등에 의하여 면적강우량은 관측소의 지점강우량보다 당연히 감소

  ⑶ 확률강우량은 지점확률강우량과 면적확률강우량으로 구분

       ⇛ 유역면적이 25.9 (10 mi²)이상인 경우에는 면적확률강우량을 적용

2. 면적확률강우량

  면적확률강우량은 Thiessen방법 등으로 가중평균한 동시간 임의시간 지점평균강우량연최대치 계열을 작성

     ⇛ 빈도해석하는 절차로 산정

  우리나라는 충분한 동시간 임의시간 강우량자료의 수집이 곤란

      ⇛ 확률강우량에 면적우량환산계수(areal reduction factor, ARF)를 곱하여 면적확률강우량을 산정

     ① 호우중심형(Storm-Centred 방법) : PMP면적PMP로 전환

     ② 면적고정형(Fixed-Area 방법) : 확률강우량면적확률강우량으로 전환

  ⑶ 기존 면적우량환산계수로는 「한국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 연구(2011, 국토부)」에서

       면적우량환산계수를 다음과 같은 형태의 회귀식의 형태로 제시

(∵ ARF(A) : 유역면적 A(km²)에 따른 면적우량환산계수, M, a, b는 면적우량환산계수  회귀식의 회귀상수)

3. 결론

⑴ 간혹 실무에서 관측소별로 비동시간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이를 Thiessen 방법 등으로 가중평균한 확률강우량인

     지점평균확률강우량을 면적확률강우량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홍수량을 과다 산정하게 하는 요인이므로 지양

이는 동시간 강우에 의한 감소가 전혀 고려되지 못하므로 면적확률강우량에 비하여 과다 산정,

    면적이 증가할수록 이러한 차이가 커지므로 반드시 적절한 방법으로 면적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