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4. 강우량 고도보정. 96-1
1. 강우량 고도보정 목적
⑴ 현재 실무에서 강우기록년수가 짧거나 미계측 지점일 경우, 인접한 강우관측소의 강우자료를 적용하고 있음
⑵ 산지가 70%인 국내의 현실을 고려하였을 때, 위·경도 및 고도 등의 지형적인 차이가 존재
⑶ 일반적으로 강수는 고도에 따라 증가
⇛ 강수량과 고도관계는 선형형태가 적용성이 좋은 것으로 연구
⇛ 과대한 보정이라는 의견도 있음
⑷ 강우량은 표고뿐만이 아니라 강우지속시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
2. 강우량 고도보정 방법
⑴ 다양한 표고분포에 따른 시강우자료를 수집
⑵ 관측소별 연도 및 지속시간별 최대값을 추출
⑶ 관측소별 지속시간별 평균최대강우량을 산정
⑷ 지속시간 및 표고별 평균최대강우량을 도시하고 분석
⑸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지속시간 및 표고가 강우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① 표고가 증가할수록 지속시간별 시우량은 비선형적으로 증가
② 지속시간이 작을수록 강우량에 대한 표고의 영향은 미미
⑹ 분석된 결과를 지속시간 및 표고에 대한 강우보정계수의 다항회귀모형을 제시
※ 다항회귀분석 : 종속변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두 개 이상의 독립변수가 사용되는 회귀분석
3. 결론
⑴ 강우량 보정시 기존의 표고와 연강우량의 관계만 고려한다면 과대한 강우량이 산정
⑵ 강우량은 표고와 강우지속시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① 지속시간이 짧은 강우의 경우 표고보다는 다른 지형 및 기후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남
⑶ 추후 풍향, 풍속, 경사 및 지형 등의 독립변수를 추가적으로 고려한다면 좋은 모형이 될 것
'수자원개발기술사 > Ⅰ.수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방법 (설계우량 주상도) (0) | 2023.03.12 |
---|---|
12. 면적확률강우량 (0) | 2023.03.12 |
10. 지역빈도해석* (0) | 2023.03.12 |
9. 점확률강우량(지점평균확률강우량)-산술평균법, Thiessen의 가중법, 등우선법 (0) | 2023.03.12 |
8. 평년빈도 2.33년 적용 근거 (0) | 2023.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