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후변화의 원인 중 자연적인 영향이 아닌 것은?
① 태양에너지의 변화
② 지구 공전궤도의 변화
③ 화산활동 지각활동 등 자연변화
④ 기후시스템 내의 자연 변동성
⑤ 오존층 파괴
※ 인위적인 영향 : 온실가스의 증가, 에어러솔 변화, 오존층 파괴, 삼림파괴 등 인위적 환경변화
2. 다음중 하천재해관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국가하천이란 지방의 공공이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하천으로 시ㆍ도지사가 그 명칭과 구간을 지정하는 하천
② 홍수설계 빈도는 치수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결정
③ 기본홍수량 이란 자연상태에서 흘러내려오는 홍수량 중에서 홍수조절이나 유역개발의 기본이 되는 홍수량
④ 계획홍수량 이란 기본홍수량을 하도 및 홍수조절댐 등에 배분하여 합리적인 하도계획이 이루어지도록 정한 홍수량임
⑤ 제방은 치수목적으로 제내지로의 범람을 방어해 주는 가장 중요한 홍수방어시설임.
3. 하천설계기준에 의거 제방은 하천유수의 침투에 대해 안정한 비탈면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1:( ) 이상의 완만한 경사를 가져야 한다. ( )안에 알맞은 것은?
① 1.0
② 1.5
③ 1.8
④ 2.0
⑤ 3.0
4. 하천재해 저감의 타 분야 계획과의 연계 및 조정에서 토지이용과 관련하여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의 내용을 반영해야 하는 계획은?
㉠ 도시기본계획 ㉡ 도시관리계획 ㉢ 토지이용계획 ㉣ 하천정비계획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5.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 수립시 자연재해 위험지구 후보지 선정 이전에 해야할 절차는 무엇인가?
① 위험도 지수(상세) 산정
② 자연재해 위험요인 분석
③ 예비 후보지 선정
④ 자연재해 저감대책 시행계획 수립
⑤ 전지역단위 및 수계단위 저감대책 수립
6.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 수립의 기본방향에 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는 것은?
① 공간적 순서를 고려한 저감대책 수립
② 종합적인 방재역량 강화
③ 구조적 저감대책의 강화
④ 예방위주의 방재로 방향전환
⑤ 타분야(도시, 상하수도 등)와의 연계 강화
7. 다음은 제방에 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는 것은?
① 유수의 원활한 소통을 유지시키고 제내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하천을 따라 흙으로 축조한 공작물을 말한다.
② 유수가 하도 밖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인공구조물이다.
③ 치수목적으로 제내지로의 범람을 방어해 주는 가장 중요한 홍수방어시설이다.
④ 제방설계시 계획제방고는 계획홍수위에 따라 결정한다.
⑤ 제방의 비탈경사는 1 : 3.0 이상의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한다.
※ 계획제방고 = 계획홍수위 + 여유고
8. 다음 중 하천설계기준상 하천 제방고 결정을 위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계획홍수위 + 여유고
② 비탈기슭고 + 계획홍수위
③ 앞비탈기슭고 + 여유고
④ 앞비탈머리고 + 계획홍수위
⑤ 계획홍수위
9. 하천재해의 유형이 아닌 것은?
① 하천의 수위에 따른 배수불량
② 제방의 붕괴 유실 및 변형
③ 호안의 유실
④ 하천 횡단구조물의 피해
⑤ 하상안정시설의 유실
10. 조사로 구분하고 분석 기초조사 방법 중 일반현황 및 위험지구 예비후보지 조사로 구분하고, GIS분석 등으로 표출되지 않는 위험지구 예비후보지 대상 선정에 활용되는 기초조사 방법은?
① 설문조사
② 자연재해 현황조사
③ 관련 방재시설 현황조사
④ 전지역 자연재해 발생가능성 검토
⑤ 방재성능목표 검토
11. 다음중 하천재해 예비후보지 선정기준이 아닌 것은?
① 이력 예비후보지
② 하천시설 예비후보지
③ 미시행 소하천 예비후보지
④ 우수배제시설 예비후보지
⑤ 전지역 검토 예비후보지
12. 다음은 위험도지수(간략) 산정에 관한 내용이다. 적절하지 않는 것은?
① 위험도지수 간략지수는 자연재해위험지구 후보지 선정에 활용된다.
② 피해이력 지수는 최근 10년간의 데이터를 조사하여 산정에 활용한다.
③ 재해위험도 지수는 사유시설, 공공시설, 건축물 등의 유무 및 재해발생 가능성정도를 고려하여 산정한다.
④ 정비여부 지수는 정비사업 시행유무와 시설상태의 정도를 판단하여 산정한다.
⑤ 위험도지수(간략) 산정결과 위험도지수가 1 이상인 위험지구 예비후보지는 위험지구 후보지에서 제외한다.
※ 위험도지수(간략) 산정결과 : 위험도지수가 1 이하인 위험지구 예비후보지는 위험지구 후보지에서 제외
13. 하천재해 위험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제방 유실 변형 붕괴
② 하상안정시설 파괴
③ 하천 횡단구조물 파괴
④ 배수펌프장 용량 부족
⑤ 제방도로 파괴
14. 다음은 하천재해의 위험요인 분석 중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계획규모 이상의 홍수 발생하여 홍수위가 제방고를 상회하여 제방 붕괴
② 제방과 구조물 접합부의 이질적인 재료에 의해 부등침하나 공동 발생으로 제방 붕괴
③ 월류 시 제내지측 비탈면 및 비탈끝의 세굴로 제방 붕괴가 일반적으로 먼저 발생
④ 설계량 초과 홍수에 의한 유수의 제방 월류 및 붕괴
⑤ 협착부 수위 상승에 의한 유수의 제방 월류
15. 다음은 하천재해의 위험요인 분석에 관한 설명이다. 구조물에 의한 제방붕괴에 대하여 설명한 것은?
① 계획규모 이상의 홍수 발생하여 홍수위가 제방고를 상회하여 제방 붕괴
② 제방과 구조물 접합부의 이질적인 재료에 의해 부등침하나 공동 발생으로 제방 붕괴
③ 침투에 의해 활동과 누수에 의해 제방 붕괴
④ 파이핑 현상 및 하상 세굴 등의 피해형태가 나타난다.
⑤ 협착부 수위 상승에 의한 유수의 제방 월류의 피해형태로 나타난다.
16. 하천재해 저감 대책 중 그 성격이 다른 하나는?
① 제체 보강 및 확폭
② 본류에 댐 또는 홍수조절지 건설
③ 수충부와 만곡부에 호안 보강 및 시설물 이설
④ 불필요한 하천 횡단구조물 철거
⑤ 댐군의 연계조정
17. 하천재해 발생시 대책중 비구조적 대책이 아닌 것은?
① 재해지도 작성
② 댐군의 연계조정
③ 재난 예경보 체계 구축
④ 자연재해보험 활성화
⑤ 수충부와 만곡부에 호안 보강 및 시설물 이설

'방재관련 > 방재전문인력인증시험(예상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5.6 토사재해 (0) | 2023.06.30 |
---|---|
5.5 내수재해 (0) | 2023.06.30 |
5.3 자연재해 특성 및 기초조사 실무 (0) | 2023.06.30 |
5.2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서 작성방법 (0) | 2023.06.30 |
5.1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 정책 및 제도 (0) | 202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