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재관련/방재전문인력인증시험(예상문제)

5.5 내수재해

견마지로 2023. 6. 30. 23:36
반응형
  
  

1. 다음 중 내수침수 재해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

도시화로 인하여 도시유역에서의 홍수피해빈도 및 규모면에서 점차 증가 하였음

최근 수해 경향은 내수침수 보다는 외수침수가 더 빈번히 발생함.

도시화에 따른 지표면 조도가 감소하여 도달시간 감소 및 첨두 홍수량 증가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율 증가로 직접유출량 증가

지표면의 초목제거로 증발량 감소와 표면유출의 증가

최근피해 경향은 외수침수 보다는 내수침수가 더 빈번히 발생함

 

2. 내수재해 위험지구 예비후보지 선정기준이 아닌 것은?

기존 종합계획의 내수재해 위험지구

설문조사를 통하여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지구

하수도정비계획에서 정비계획이 수립되고 시행된 구간

배수펌프장 등 시설 능력이 부족한 지역

전지역 발생가능성 검토에서 위험지역으로 분류되는 지역

 

3. 다음 중 내수재해 위험 요인이 아닌 것은?

우수관거의 용량 부족 및 경사 불량

하천 외수위 상승으로 인한 내수배제 불량

빗물 펌프장 용량 부족

도로지반고가 주택 출입구 보다 낮은 경우

지하공간 출입구 빗물유입장지시설 미흡

 

4. 다음 중 내수 침수 위험도 분석모형이 아닌 것은?

RRL 모형

STORM 모형

ILLDDAS 모형

FARD 모형

FFC 모형

 

5. GIS SWMM 다음 중 활용에 의한 위험도 분석시 유역의 모형구축을 위해 필요한 지형자료가 아닌 것은?

유역의 하천 및 하수관망

DEM

불투수도

토지이용도

도시계획도

 

6. 내수재해 위험도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가 아닌 것은?

현황조사 및 관련계획조사

설문조사

재해취약자 분포도

피해사례조사

주요 하수관 및 펌프장 조사

 

7. 내수재해 저감대책 수립 시 지상공간 침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비구조적 대책이 아닌 것은?

기후변화로 인한 방재시설의 방재기준 재설정

홍수지도 대피지도 등의 비구조적 대책 수립

침수지역내 시설별 이용자에 따른 침수대응 매뉴얼 개발

사전재해영향성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강화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 강화

 

8. 내수재해 저감대책 수립 시 지상공간 침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구조적 대책이 아닌 것은?

기후변화를 고려한 하수관거 설계기준 강화

빗물받이 설치확대 및 막힘 방지대책 수립

지역별 특성에 맞는 도시 방재성능 도입

배수펌프장 용량 확대

도시지역내 위험도 예측 및 대책수립

지역별 특성에 맞는 도시방재성능 도입은 비구조적 대책임

 

9. 내수재해 저감대책 수립 시 지하공간 침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구조적 대책이 아닌 것은?

우기시 지하철 역사 공사시 철저한 유지관리 및 책임부여

배수시설 용량 확대 및 비상전원 확보

침수위험 지역 내 비상 배수설비 구축

지하철 구간내 배수설비 확충

대피 및 방송 등 행동메뉴얼 구축 및 모의훈련 실시

 

10. 다음중 내수재해 지하공간 중 지하철과 관련된 구조적 저감대책에 해당하지 않는 것?

차수판 및 모래주머니 확보 의무화 및 관리 철저

지하철 구간내 배수설비 확충

배수설비 용량 확대 및 비상전원 확보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 강화

우기시 지하철 역사 공사시 철저한 유지관리 및 책임부여

 

11. 내수재해 저감대책 중 반지하 주택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물적 대책이 아닌 것은?

역지변(하수 역류 방지기)

침수방지턱

소형펌프 배치

차수판 및 모래주머니 확보

맨홀 위치선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