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9. 부자에 의한 유량측정. 92-1
문제) 2. 하천유량관측소 설치장소와 유속에 의한 유량측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98-1
문제) 5. 하천규모 및 유량별 유량측정방법과 유량관측소의 위치선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2-2
문제) 4. 홍수시 부자에 의한 유량측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5-3
문제) 5. 바람직한 유량관측소 위치선정과 하천규모(소·중·대하천) 및 유량규모(갈수·저수, 평수, 홍수)별 유량측정방법과 부자에 의한 유량측정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3-3
문제) 4. 하천의 유량측정 방법으로 일반 유속계, 부자, 전자파 표면 유속계, 희석법, 위어에 의한 유량측정법, 기타 유량측정법이 있는데, 이중 기타 유량측정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6-2
1. 유량측정방법
⑴ 유속에 의한 유량측정 : 유수단면적과 평균유속 측정치를 곱하여 구하는 방법
(유속계법, 부자법, 전자파 표면유속계, (이동, 고정)초음파 유속계법)
⑵ 월류량공식에 의한 방법 : 수공구조물의 월류수심을 측정하여 월류량 공식으로부터 유량을 계산
(위어 측정법)
⑶ 희석법 : 추적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하는 방법
⑷ 하천규모 및 유량별 유량측정 방법
하천규모 | 유량 | 유량측정방법 |
중·소하천 | 갈수·평수시 | 유속계법, 위어 측정법 |
평수시 | 유속계법, 희석법 | |
홍수시 | 부자법 | |
대하천 | 갈수·평수시 | 유속계법, 희석법, 이동 초음파 유속계법 |
평수시 | 유속계법 | |
홍수시 | 부자법, 전자파 표면 유속계법 |
2. 일반 유속계에 의한 유량측정
⑴ 수심측정은 원칙적으로 동일 횡단선상을 왕복해서 2회 실시
⑵ 유속측정은 횡단선상의 각 측점에서 연속하여 2회 실시
⑶ 유속측선은 원칙적으로 연직면상에서 횡단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도록 선정
⑷ 소형유속계를 사용하면 수심 0.5m를 기준으로 수심이 작으면 1점법, 크면 2점법
① 1점법 : 연직방향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60%
② 2점법 : 연직방향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20%, 80%
⑸ 수심이 1m 이상 되는 곳에서는 3점법, 4점법 선정
① 3점법 : 연직방향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20%, 60%, 80%

② 4점법 : 연직방향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20%, 40%, 60%, 80%

⑹ 정밀측정의 경우 횡단방향으로 수류의 변화점을 조사해서 그 구분 내에서는 등간격으로 하고,
전체적으로 볼 때에는 수심 또는 유속이 큰 곳은 조밀하게 측정하도록 유의
3. 부자에 의한 유량측정
⑴ 보조구간은 부자를 투하하는 위치에서 제1측정 단면까지의 구간이며 30m이상 선정
⑵ 측정구간(유하거리)은 제1측정단면에서 제2측정단면까지의 구간으로 50m이상 선정
⑶ 시준말뚝은 측정단면(1, 2)의 횡단선상에 있도록 설치, 하천 양안에 적어도 1개씩
⑷ 부자의 투입은 등간격을 원칙으로 하나, 홍수터 및 저수로가 명확하지 않고
불연속으로 되어 있는 하천에서는 부등간격으로 하는 것이 정확도가 높아지는 경우도 있음
⑸ 부자의 종류는 막대부자와 표면부자가 있음
⑹ 유량관측 중에도 수위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관측 개시와 종료시에 제1횡단면도와 제2횡단면도에서의 수위를 동시에 읽어야 함
⑺ 홍수로 인하여 유량관측의 전후에 횡단면의 변화가 생겼을 때에는 각 구분 횡단면적에 큰 쪽의 단면적을 이용하는 것으로 함
⑻ 측정된 유속은 평균유속보다 빠르므로 유속환산을 위한 보정계수(0.85~0.96)를 곱하여 보정
4. 전자파 표면유속계에 의한 유량측정
⑴ 전자파 표면유속계는 하천의 표면유속을 비접촉식으로 손쉽게 유속 측정이 가능한 이동식 표면 유속 측정 장비
⑵ 장점은 물과 비접촉식이므로 인명피해의 위험성이 해결되며, 홍수시 떠내려오는 각종 부유물로부터 센서를 보호할 수 있음
⑶ 단점은 물 표면의 유속만을 측정하므로 물 속 임의지점의 유속을 알 수 없음
⑷ 유량측정은 상류방향을 향하여 측정하는 것이 정밀도가 좋음
5. 희석법에 의한 유량측정
⑴ 원리 : 주어진 양과 농도의 추적물질(NaCl, KCL)을 하천흐름에 주입
⇛ 완전한 혼합이 이루어진 하류지점에서의 농도를 측정
⇛ 질량보존법칙을 적용하여 유량을 결정
⑵ 적용 : 소하천 및 저수시의 일반하천에서 운반토석이나 얕은 수위 때문에 측정이 곤란한 경우
⑶ 방법
① 유량측정을 위하여 화학물질 또는 추적물질을 상류의 한 지점에서 주입
② 유하하면서 물과 완전히 혼합되었다고 생각되는 하류지점에서 시료수를 채취
③ 분석하여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유량을 구하거나 물의 전도도를 측정해서 유량 산출
④ 방법 : 일정률 주입방법, 일시 주입방법
⑷ 일정률 주입방법
① 상류지점 (Q : 유량, C2 : 농도)에 추적물질(q : 주입량, C1 : 주입액 농도)을 주입한 후
하류단에서 평형상태의 농도(Ce)를 측정하여 다음의 관계식으로 유량을 직접계산하는 방법


⑸ 일시 주입방법
① 사용될 추적물질의 양이 많아 기술적, 경제적 측면에서 불리하거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 발생시 적용
② 상류에서 추적물질(C(ppm) : 농도, V(㎥) : 주입량)을 일시에 주입
⇛ 하류에서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시간별 농도곡선을 그려 다음 식으로 유량계산



6. 위어에 의한 유량측정 (수리학적 방법에 의한 유량측정방법)
⑴ 가장 이상적인 저수(低水)통제단면 : 급변류의 발생지점 혹은 단락부로써 흐름이 상류에서 사류로 변화되면서 한계수심을 통과하는 단면임, 자연하천에서는 이와 같은 통제단면을 찾기 힘들기 때문에 콘크리트로 영구적인 인공저수통제단면인 V형 위어를 만듬
⑵ 위어 측정법에서 완전월류하는 직사각형 위어의 경우

(∵C : 위어 유량계수, B : 위어폭(m), H : 월류수심(m))
⑶ 위어 측정법의 경우 위어 형상에 따라 월류형태가 완전월류, 불완전월류 및 수중월류 등에 의하여 수위와 유량의 관계식이 달라짐
7. 고정 초음파 유속계에 의한 유량측정 (기타 유량측정)
⑴ 고정 초음파 유속계에 의한 유량관측은 하천의 측정횡단면을 포함하는 양안에 초음파 유속계를 고정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무인으로 하천 횡단방향의 평균유속을 연속하여 관측
⑵ 수위를 연속적으로 연산처리하여 단면을 측량함으로써 연속유량 산출
⑶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나 한번 설치하면 정확한 유량관측을 할 수 있음
8. 이동 초음파 유속계에 의한 유량측정(이동보트법, 기타 유량측정)
⑴ 초음파 유속계(ADCP :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를 측정용 보트에 탑재
⑵ 하천을 횡단하면서 연속적으로 수심과 유속을 측정하여 유량 산출
⑶ 유량을 짧은 시간에 측정할 수 있는 장점, 대하천의 유량측정시 유리
⑷ ADCP의 측정원리는 도플러 변이를 이용하는 것
(수중에서 물과 함께 이동하는 부유물질에 반사된 음파의 주파수 변이가 반사체의 이동속도와 비례하는 원리)
9. 경사면적법(수면경사-단면적법)에 의한 유량측정 (기타 유량측정)
⑴ 경사면적법은 수면경사와 하천횡단면을 연관시켜 수리학적 관계를 이용하는 것
⑵ 홍수가 지나간 후 현장조사를 통해 홍수흔적의 위치와 표고 및 횡단면적을 결정
⑶ 필요한 자료는 수로구간 내 에너지경사의 결정, 수로구간 내 평균단면적과 구간 길이의 결정,
마찰손실을 계산하기 위한 수로구간에 적용할 조도계수 추정 등
① 적절한 하천구간의 선정과 적절한 조도계수의 선택이 결과의 질을 좌우
② 적절한 하천구간은 가급적 직선적인 선형을 가지며 통수단면의 변화가 작을수록 좋음
③ 홍수흔적이 남은 직선구간이 없을 경우 확대부보다는 축소부가 좋고, 횡단면은 3개이상 택하는 것이 좋음
⑷ 자료가 얻어지면 유량은 Manning 공식 등의 등류공식으로 계산
⑸ 홍수위와 유량이 서서히 변화될 때에만 적용해야 함
'수자원개발기술사 > Ⅰ.수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 수면경사-단면적법(Slope-Area)에 의한 유량산정* (0) | 2023.03.28 |
---|---|
14-2 일반형 강우강도식 (0) | 2023.03.28 |
23. 수위계 영점표고, 영유량수위(GZF)* (0) | 2023.03.27 |
22. 유량관측소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선정시 고려해야 할 조건 (0) | 2023.03.26 |
21. 강우관측소 (0) | 202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