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2. 유량관측소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선정시 고려해야 할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제93회 (2011년)(3교시)
문제) 2. 하천유량관측소 설치장소와 유속에 의한 유량측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제98회 (2012년)(1교시)
1. 유량관측소의 위치선정 : 수유유안 유하 저여 대기.
⑴ 수위관측소가 설치된 장소 또는 병설할 수 있는 장소.
⑵ 유량관측을 안정하게 할 수 있는 장소.
⑶ 유수가 안정된 장소.
⑷ 안전한 장소.
⑸ 유지관리가 쉬운 장소.
⑹ 하상변동이 적은 장소.
⑺ 저수 유량관측 및 홍수유량 관측을 동일 장소 또는 가까운 장소.
⑻ 여울이나 사수역이 없는 장소.
⑼ 대안 및 관측구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장소.
⑽ 기타 수위관측소 설치에 준하는 장소.
2. 부자에 의한 유량관측시 위치 선정
⑴ 유수의 직선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장소
⑵ 유수의 장해가 없는 장소
⑶ 단면이나 하폭에 큰 변화가 없는 장소
⑷ 관측구간의 직상류부에 교량이 있거나 부자 투하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장소
3. 수위관측소 설치장소의 선정 : 유유지갈 홍감T.
⑴ 유로 및 하상변동 작은 곳.
⑵ 유수 흐름상태가 일정한 곳.
⑶ 지형, 지물을 고려하여 대표성이 있는 곳.
⑷ 갈수시 물이 마르지 않는 곳.
⑸ 홍수시 접근이 용이한 곳.
⑹ 감조구간 상류단에서 수위관측 할 때, 갈수시 대조상태를 조사해야 함.
⑺ TM : 전파조건 양호.
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 > Ⅰ.수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유량측정방법 (0) | 2023.03.28 |
---|---|
23. 수위계 영점표고, 영유량수위(GZF)* (0) | 2023.03.27 |
21. 강우관측소 (0) | 2023.03.26 |
20. 유효우량산정* (0) | 2023.03.26 |
19. 침투지수법에 의한 유역의 평균침투능 결정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