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개발기술사/Ⅰ.수문학

23. 수위계 영점표고, 영유량수위(GZF)*

견마지로 2023. 3. 27. 08:49

문제) 5. 수위계 영점표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5-1

문제) 1.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그림으로 설명하고 영점표고 및 0의 유량(zero flow)과의 관계를 설명. 117-3


1. 수위계 영점표고

    - 수위표의 0m인 해발표고(EL.m)   

https://www.hrfco.go.kr/web/floodPage/floodLevel.do

  ⑴ 수위표 영점표고는 수위가 기준수위 이하로 표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예상 최대갈수위 이하로 설정

  ⑵ 영점을 변경할 경우 변경 깊이, 변경 연월일, 변경 사유, 변경 내역 등 관측소 대장에 정확히 기입

  ⑶ 원칙적으로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수위관측소의 영점표고는 변경하지 않음

  ⑷ 기준수위표 설치 및 점검시 고려사항

     ① 기준수위표 설치위치와 주수로부와 일치여부

     ② 기준수위표 파손여부

     ③ 기준수위표 최고눈금은 계획홍수위 또는 기왕최고수위보다 1m이상 높게 설치

     ④ 영점이 저수로 하상 이하 또는 기왕최저수위보다 1m 이상 낮게 설치

2. 영유량 수위(GZF, Gauge Height of Zero Flow)

  ⑴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의 형태

(a, c : 회귀상수, h : 관측수위, e : 흐름이 0인 수위(GZF))

  ⑵ 정의

     ① 유량이 0이 되는 수위

     ② 저수 통제의 가장 낮은 부분의 표고

     ③ 통제를 월류하는 흐름이 멈추는 수위

⑶ 특징

     ① 정형화된 형태의 단면통제 : 영유량 수위 ≒ 실측 영유량 수위

     ② 불규칙한 형태의 단면통제 : 영유량 수위 > 실측 영유량 수위

     ③ 하천수가 마를때의 최대깊이가 대략적인 영유량 수위가 됨

     ④ 시행착오법을 반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음

  ⑷ 영유량 수위 결정 방법

     ① 현장 측정법 : 측정구조물 혹은 인공통제단면의 가장 낮은 부분이 영유량 수위임

    ② 시행착오법

    ③ 컴퓨터 프로그램 이용

    ④ 구간 분리에 따른 영유량 수위 변화


GzF산정.pdf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