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 스트레스 지수 2

29. 물부족국가와 물기근국가

문제) 2. 물부족국가와 물기근국가. 96-1 1. 물 스트레스 지수(WSI : Water Stress Index) ⑴ Falkenmark는 특정 국가 및 지역 단위에서 1인당 연간 재생 가능한 수자원의 총량을 기준으로 물풍요(no stress), 물 스트레스(stress) 및 물 기근(scarcity)을 평가하는 Falkenmark indicator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물 스트레스 지수(WSI)를 산정 ⑵ '국제인구행동단체(PAI)'는 전세계 국가를 '물기근, 물부족, 물풍요 국가로 분류 발표하고 있음 ⑶ WSI 장점 ① 지표의 계산에 필요한 자료(강수량, 인구)를 쉽게 구득 ② 그 의미가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움 ⑷ WSI 단점 ① 물 부족을 명확히 드러내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는 점 ② 수..

28. 기후변화와 물 스트레스

문제) 8. 기후변화와 물 스트레스(water-stress). 90-1 1. 기후변화 ⑴ 190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10년 평균강수량은 증가추세에 있으며, 강수량의 변동폭은 점진적으로 증가 ⑵ 지역별 및 유역별로 강수량의 편차가 심하고 홍수기에 강수량이 편중되어 이수 및 치수 모두 취약 ⑶ 이용가능한 수자원량도 지역별 및 유역별로 편차가 심함 (특히 홍수기에 편중 ⇛ 여름철에 물을 댐 등에 저장하지 못할 경우 갈수기인 겨울과 봄철에 물 공급 곤란) ⑷ 기후변화에 가장 영향을 받는 기상요소인 강수량은 홍수와 토석류, 가뭄, 수질오염 등 물 관련 재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 초래 ⑸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패턴의 변화와 기온상승으로 인한 증발산량의 증가는 유출량과 지하수의 함양량 감소 ⑹ 유출량의 계절적 분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