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개발기술사/Ⅲ.하천계획

65. 고지배수로*

견마지로 2023. 4. 12. 23:14


1. 고지배수로 정의

   ⑴ 상류유역이 산지이고, 하류 저지대에 도심지가 형성된 경우

       도심지 구간 도로지하에 배수암거의 형태이거나, 우회 배수암거, 터널의 형태로 설치하는 배수관거를 의미

  ⑵ 계획홍수위보다 높은 유역의 자연유출량만을 직접 본류하천에 자연배수하기 위해 설치하는

      수로 및 관거, 말단부에 수문이 설치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

2. 고지배수로 주요시설

  ⑴ 고지배수관로 : 상류 산지유역의 홍수유출량을 하천으로 직접 자연배수

    ① 압력관로식 관로 : 본류하천의 수위가 증가하면 상류유역에서 고지배수관로에 유입된 유출수는  수두차에 의해 자연방류되는 압력식 배수관로의 형태가 일반적

   ② 우회배수 방식 관로 : 산비탈면 하단부를 따라 암거형태 등의 고지배수로가 설치되어 저지대 도심지를 우회하여 방류하천으로 자연배수되는 형태

  ③ 압력식 수로터널 형식 관로 : 상류 산지유역에서 발생되는 유출수를 도심지를 관통하지 않고 인근 산, 언덕 등을 관통하는 고지배수관로에 유입 수두차에 의해 방류하천으로 자연방류되는 압력식 배수관로 형태

   ⑵ 유도관로 : 고지배수로 좌우에 설치하여 저지대의 배수관로를 연결하여 저지대 홍수유출량을 배수펌프장으로 연결

   ⑶ 압력식 맨홀 : 고지배수로 유지관리를 위해 설치

   ⑷ 침사지 :고지배수로 유입부에 토사를 미리 침식시켜 고지배수관로 내에 토사퇴적을 억제 및 저감시킴

   ⑸  사방댐 : 상류 산지유역의 산사태 및 토사유실로 인한 고지배수로 입구부 막힘과 관로 내에 토사퇴적을 억제 및 저감

3. 고지배수로 구간별 관리

고지배수로 고지대 통과구간

 ① 고지대 통과구간은 고지배수로 주변의 지반고가 배수관거의 손실수두를 고려한 방류하천의 계획홍수위와 보다 높은 구간을 의미

 ② 주변지역의 지반고 보다 낮기 때문에 압력차에 의해 홍수유출량은 고지배수로를 통해 방류하천으로 방류

고지배수로 저지대 통과구간

  ① 저지대 통과구간고지배수로 주변 지반고가 방류하천의 계획홍수위 보단 낮은 구간을 의미

  ② 고지배수로 측면에는 유도관로를 매설하고, 저지대 배수관로를 유도관로에 연결하고,

       유도관로는 빗물펌프장으로 연결하여 하천의 수위가 상승할 경우 펌프를 가동하여 강제배수

4. 고지배수로 관리 및 문제점

   ⑴ 현재 고지배수로는 관리주체가 명확하지 않고,

   ⑵ 관련법의 부재로 고지배수로를 관리할 수 있는 예산책정어려운 실정이므로

   ⑶ 고지배수로 관리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

[참고] 승수로(intercepting drain, 承水路)

   ⑴ 간척 및 경지정리를 통해 부지를 조성할 경우 상류의 배수로와 소하천 등을 본류하천이나 바다까지 연결하는 수로

   ⑵ 승수로는 고지배수로 개념을 포함한 의미

[참고] 방수로[放水路, diversion waterwqy]

   ⑴ 강의 흐름의 일부를 분류(分流)하여 호수나 바다로 방출하기 위해 굴착한 수로


재해예방을 위한 고지배수로 운영관리 지침(행정안전부훈령)(제38호)(20180605).hwp

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 > Ⅲ.하천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67. 제방안전성 평가 및 정보지도  (0) 2023.04.16
66. 지방하천의 효율적 관리방안*  (0) 2023.04.15
64. 생태수리학  (0) 2023.04.12
63. 유니버설 디자인  (0) 2023.04.12
62. 대체수자원*  (0) 2023.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