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개발기술사/Ⅴ.댐

60. 저수지 퇴사량 산정방법과 퇴사분포 예측방법*

견마지로 2023. 5. 17. 15:04
  
  

문제) 5. 저수지 퇴사량 산정방법퇴사분포 예측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3-2

문제)11. 수평퇴사법면적증분법. 96-1


1. 비퇴사량 및 퇴사량의 결정

  ⑴ 미계측유역의 경우에는 많은 경험공식들을 해당 유역에 적용하여 얻은 결과와

       신뢰성있는 다른 저수지의 실측자료를 기초로 타당한 비퇴사량의 채택범위를 설정한 다음,

       그 범위내에서 여타 다른 조건 등을 고려하여 비퇴사량을 채택하는 방법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

  ⑵ 미계측유역의 비퇴사량 결정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

    ① 국내 설계시 채택된 계획 비퇴사량300800m³/km²/yr 정도

    ② 국내 저수지 실측 비퇴사량2301,000m³/km²/yr 정도이며,

         비교적 신뢰성이 인정되는 비퇴사량은 250500m³/km²/yr 범위

    ③ 댐 설계시 비퇴사량500m³/km²/yr 정도를 채택하는 것이 무난할 것으로 판단

2. 퇴사분포 예측

  ⑴ 저수지로 유입되는 퇴사량이 예측되면 저수지내에서 공간적으로 어떤 형태로 분포될 것인가를 예측하여야 함

  ⑵ 퇴사분포의 예측방법으로는 가장 간단한 방법인 수평퇴사법,

        Cristofano면적증분법

        Borland & Miller경험적면적감소법 등이 있음

현재 비교적 가장 합리적인 경험적면적감소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소규모 댐에는 수평퇴사법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3. 퇴사분포 예측방법(수평퇴사법, 면적증분법, 경험적면적감소법)

  수평퇴사법

    ① 수평퇴사법은 퇴사가 댐축 하상으로부터 차곡차곡 쌓인다고 보는 방법(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가정)

    ② 소규모 댐의 경우에는 안정성 확보차원에서 이 방법을 채택하기도 함

  면적증분법

    ① 면적증분법은 저수지내의 퇴사는 저수지의 각 표고에서 저수면적을 일정량만큼 감소시킴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는 가정에 근거를 두고 있는 간략법

    ② 댐지점의 퇴사심(h0)을 가정하여 총퇴사량과 일치되는 퇴사심을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시행착오법으로 결정

출처 : 수자원설계실무

    ③ 유사는 일반적으로 모든 표고에서 동일량만큼의 저수면적을 감소시키는 않으므로 가정에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100년 퇴사량이 저수용량의 15%가 넘는 경우에는 적용 곤란한 방법

  경험적면적감소법 (저수지 형태 결정 퇴사분포 계산)

    ① 저수지 형태의 결정

      ⓐ 저수지 형태전대수지횡축에는 저수용량을 표시하고, 종축에는 저수지의 수심을 표시하여

            수심-용량곡선을 그린 다음, 그 기울기(n)의 역수(m)에 따라 4가지 형태로 분류

            수심의 상한선은 일반적으로 만수위까지를 채택

출처 : 수자원설계실무

        - 저수지 형태의 분류를 통해 정의된 저수지 형태의 명칭은 단지 30개 기존저수지의 저수용량곡선으로부터

           얻어진 분류일 뿐이므로 반드시 그 뜻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것은 아님

           (예 : 호수형이라고 반드시 평야지대에 있다는 것도 아니며, 협곡에 위치한다고 협곡형으로 결정된다는 것도 아님)

      ⓑ Type-에서 Type-로 갈수록(, m값이 작아질수록) 저수지의 상류단보다 하류단에 많은 퇴사가 발생하는 것이

             저수지 형태에 따른 표준형곡선의 특징임

      ⓒ 한편, 저수지 운영방식에 따라 저수지 형태를 다음과 조정하는 것을 추가로 검토하여야 함

출처 : 수자원설계실무

  
  
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 > Ⅴ.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 댐에서 일정량 공급방식(Firm-Supply)과 부족분 공급방식(Deficit-Supply)  (0) 2023.05.17
61. 단파  (0) 2023.05.17
59. 저수지 퇴사  (0) 2023.05.17
58. 저사댐  (0) 2023.05.17
57. 갈수대책 댐  (0) 2023.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