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6. 저수지는 하천상류로부터 이송된 유사에 퇴적되어 저수능력이 상실되고 생애주기가 감소하게 되는데, 저수지 생애주기 및 저사댐의 설치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2-2
1. 저수지 생애주기 연장 배경
⑴ 하천은 상류로부터 유사가 지속적으로 공급
⇛ 이송된 유사는 유속 감소로 인하여 저수지에 퇴적
⇛ 유사의 퇴적으로 저수능력 상실, 생애주기 감소, 저수지 상류 유입지류에 홍수시 배수위 영향으로 홍수피해 유발
⑵ 신규댐 건설이 어려운 시점의 대안 : 기존댐 생애주기 연장하는 방법
2. 저수지 생애주기
⑴ 정의
① 저수지 고유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
② 저수지 기능을 상실하는데 걸리는 기간
③ 총 저류용량 / 연간퇴적율
⑵ 저수지 생애주기 연장방법(준설, 배사, 저사댐 설치)
① 준설
ⓐ 대규모 댐의 경우 준설작업시 토사 및 유기물이 부유하여 수질 악화 초래
ⓑ 상수원보호구역인 댐은 20,000㎡ 이상의 골재 채취시 환경영향평가 대상
② 배사
ⓐ 배사구 주변의 토사만 제거(전체적인 퇴적토를 줄일 수 없음)
ⓑ 배사방법 : 즉시배사(sluicing), 강제배사(flushing), 우회배사(bypassing)
ⓒ 기존댐에 배사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어렵고, 비경제적이며, 설치하였더라도 비효율적인 방법
(∵우리나라의 경우 배사문이 설치된 댐이 거의 없음)
③ 저사댐 설치
ⓐ 상류 포착 : 댐 상류지역에서 포착하는 방법
ⓑ 현재 저수지 생애주기를 연장하는 가장 타당한 방법
3. 저사댐(Predam)
⑴ 댐 상류의 수몰지내 장비진입이 쉬운 지점에 설치하여, 유지관리를 원활히 할 수 있음
⑵ 갈수기에 수몰지내 준설은 육상준설로 시행 가능
⑶ 효과
① 토사포집(본 댐으로의 토사유입 방지)
② 저사댐 준설을 통한 댐상류 지역 배수위 저하 ⇛ 홍수피해 저감
③ 준설토를 댐 하류 유사환원
④ 오염물질 침전 제거
⑤ 댐 상류지역의 보 역할 : 일정수위이상 저수위확보 ⇛ 경관향상
⑥ 인공습지 조성 및 친수공간 제공 ⇛ 관광수입, 지자체 고용창출
4. 결론
⑴ 신규댐은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 등으로 인하여 건설이 어려운 실정
⑵ 기존댐 저수용량을 유지 또는 증가시켜, 댐의 효율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저사댐의 도입이 필요
⑶ 신규댐 건설수요를 줄여 수몰지 수목제거량 감소, 이산화탄소 발생 저감, 신속한 사업시행으로 일자리 창출 등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도 적극적으로 부응할 수 있을 것임
'수자원개발기술사 > Ⅴ.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60. 저수지 퇴사량 산정방법과 퇴사분포 예측방법* (0) | 2023.05.17 |
---|---|
59. 저수지 퇴사 (0) | 2023.05.17 |
57. 갈수대책 댐 (0) | 2023.05.17 |
56. 지하수댐 물막이벽 시공법과 해안지역 염수침입 방지기술 개선방안 (0) | 2023.05.17 |
55. 지하댐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