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추진배경 및 문제점
⑴ 제체 구조적 안정성 문제 대두
: 둑마루 및 사면경사 등 제방 규격 위주의 외형적 기준평가 ⇛ 구조적 평가기준 미흡
⑵ 지속적인 홍수피해 발생
: 20년대 이후 우기 집중호우 등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의 기성제 침하, 붕괴, 유실 등 발생
⇛ 반복적 피해 발생 가능
⑶ 제방 안전관리 기준 미흡
: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한 정밀안전점검시 제방은 육안조사에 국한
⇛ 제방 보강은 외형적 보강에 그침
2. 제방관리의 대안제시
⑴ 현장여건, 지반조사 및 제방의 구조적 안정성을 종합적으로 검토
① 제체 재료원 조사 : 입도분포, CBR시험, 다짐도, 시공 함수비, 시공층 두께, 투수시험 등
② 여유고, 둑마루폭, 비탈경사, 수충부·만곡부 영향 등 제방에 대한 수리적 안정성 평가
③ 비탈면 안전해석, 제체누수 및 파이핑 등의 검토를 통한 제방 구조적 안정성 평가
⑵ 안전등급평가 후 제방 보강대책 선정
① 제방 피해 유형은 월류, 활동, 누수 3가지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피해는 복합적 사유로 발생
② 대책 필요구간별 경제성, 시공성 및 수리적 안정성 확보 등을 고려하여 항구적인 보강대책 수립
3. 과업단계별 작업계획
⑴ 조사
① FMS등을 활용한 제방 공사연혁, 기존 설계를 바탕으로 취약구간 위주 조사지점 선정
② 시추조사, 실내시험 및 역학시험 시행
③ 필요시 추가 시추조사 및 물리탐사 시행
⑵ 평가
① 제체 재료원 안전성 평가
② 수리적 안정성 평가
③ 지반·구조적 안정성 평가
④ 제방 시설 안전등급 산정
⑶ 계획
① 등급별·유형별 정비방향 설정
② 지구별 제방보강 계획 수립
③ 연차별 투자계획 수립
⑷ 정보지도 작성
① 제방안전성 평가 결과를 활용한 홍수위험 정보 구축
② 홍수위험 구역 자산가치 및 중요도 평가
③ 제방 정보지도 작성
④ 제방 정보 DB 구축 및 RIMGIS 연계
4. 기대효과
⑴ 지반조사를 기반으로 한 제방의 안전성 평가로 제방유실로 인한 대규모 홍수피해 예방
⑵ 제방 안전성 평가를 통한 안전관리제도 도입 기반을 마련하여 선순환형 시설물 관리체계 확립
⑶ 제방 조사결과 및 안전성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제방별 DB 구축
⑷ 홍수위험구역, 자산가치, 안전도평가 결과를 종합적으로 수록하여 사용자 중심 제방정보 지도 작성
5. 제언
⑴ 지점조사 결과는 제방 전구간의 대표성 미흡
: 국부적 제방 취약구간(공동/누수), 배수시설물 하부·측면(공동/누수)은 시추조사(점조사)로는 조사, 판단, 평가의 기술적 한계가 있어 별도의 검사방안 필요
⇛ 지구물리탐사 시행(전기비저항 탐사법, GRP탐사법, 지온탐사법, 자연전위법, 탄성파 조사 등)
⑵ 설계기준에 부족한 시추조사 ⇛ 설계기준 준수
4. 제방 붕괴원인 :: 수자원, 토목, 방재, 기타 등등 (tistory.com)
6. 제체 및 지반누수의 원인 및 대책* :: 수자원, 토목, 방재, 기타 등등 (tistory.com)
7. 제체누수점검방법 및 방지대책 :: 수자원, 토목, 방재, 기타 등등 (tistory.com)
'수자원개발기술사 > Ⅳ.하천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55. 배수시설(배수통문, 배수통관, 배수문, 배수관)의 구조 (0) | 2023.11.11 |
---|---|
54. 생태하천 복원 기본 방향 (0) | 2023.11.09 |
52. 생태하천 복원 사전조사 (0) | 2023.05.31 |
51. 내진설계 대상 하천시설 (0) | 2023.05.31 |
50. 특허와 신기술 (0) | 202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