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재관련/방재전문인력인증시험(예상문제)

5.10 대설재해

견마지로 2023. 6. 30. 23:44
  
  

1.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폭설()이 내리는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중위도 저기압의 발달

찬 대륙고기압의 서해 또는 동해로의 이동

대기와 해수의 온도차 발생

한기를 동반한 상층 기압골의 통과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과 차고 습한 오호츠크 저기압의 만남

 

2. 건설과 습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건설은 낮은 기온으로 건조하며 푸석 푸석한 눈이다.

건설은 눈 결정체 모양이 나뭇가지 형태로 밀도가 낮아 습설의 1/3 정도의 무게이다.

건설은 건조해서 눈송이끼리 끌어당기는 힘이 작아 잘 뭉쳐지지 않는다.

습설은 눈 결정체 모양이 육가형으로 밀도가 높아 건설에 비해 3배 무겁다.

건설은 발로 밟으면 물이 베어 나와 부착력이 강해 전선에도 붙기 때문에 그 무게로 끊어지기도 하고 휘어지는 사고가 발생한다.

습설은 건설에 비해 대설피해발생 확률이 크고 피해 규모가 크다.

 

3. 재해연보에서의 대설집중 시설 중 사유시설이 아닌 것은?

학교

축사

잠사

비닐하우스

수산증양식

 

4. 대상지역의 대설재해 위험도 분석 자료 조사 내용이 아닌 것은?

송전철탑 현황

강설자료 조사

도로시설물 현황

도로 현황

비닐하우스 면적 현황

 

5. 대설재해 위험지구 후보지 선정에서 위험도지수(간략) 산정시 재해위험도(B) 산정 관련 피해발생 유형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

영향범위내 사유시설, 공공시설, 건축물 등이 위치하지 않아 재해발생시 피해규모가 크지 않은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영향범위내 사유시설, 공공시설, 건축물이 위치하나 관련계획을 통해 재해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검토된 지역

영향범위내 사유시설, 공공시설, 건축물이 위치하고 있고, 재해발생 가능성이 있어 인명 및 재산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영향범위내 시설물(공공 및 사유), 건축물이 위치하나 관련계획을 통해 재해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검토된 지역

위험지구내 주민이 거주 또는 도로가 위치하고 재해 발생시 주민불편이 예상되는 지역

 

6. 대설재해 위험지구 후보지 선정에서 위험도지수 상세 산정시 설해위험도(B) 산정 관련 피해발생 이력 유형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

영향범위내 사유시설, 공공시설, 축물 등이 위치하지 않아 재해발생시 피해 규모가 크지 않은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② 영향범위내 사유시설, 공공시설, 건축물이 위치하나 관련계획을 통해 재해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검토된 지역(정비계획 미수립 구간 등)

재해발생시 인명피해 발생 우려는 없으나 위험지구내 건축물의 피해발생이 우려되는 지역

재해발생시 위험지구내 인명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

영향범위내 주민이 거주 또는 도로가 위치하나 재해발생 가능성이 낮아 주민불편이 예상되지 않는 지역

 

7. 대설재해 위험지구 후보지 선정에서 위험도지수(상세) 산정시 주민불편도 산정 관련 피해발생 이력 유형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

영향범위내 주민이 거주하지 않거나 도로가 위치하지 않아 재해발생시 주민불편 발생가능성이 낮은 지역

영향범위내 주민이 거주 또는 도로가 위치하나 재해발생 가능성이 낮아 주민불편이 예상되지 않은 지역

거주인구 비율이 30미만 또는 위험지구내 비법정 도로가 위치하여 재해발생시 주민불편이 예상되는 지역

거주인구 비율이 20이상 ~ 50미만 또는 위험지구내 1차로의 법정도로가 위치하여 재해발생시 주민불편이 예상되는 지역

거주인구 비율이 50이상 또는 위험지구내 2차로 이상의 법정 도로가 위치하여 재해발생시 주민불편이 예상되는 지역

 

8. 대설재해 위험지구 선정시 도로 비닐하우스 축사 등의 설계 위험요소 등급의 기준 빈도는?

10

20

30

50

100

 

9. 대설재해 저감대책 대책에서 구조적 저감대책이 아닌 것은?

선형개선

재설제 비치

풍수해보험

염수분사장치

내재형 원예시설

 

10. 기상청에서 대설주의보를 발령하는 24시간 동안의 신적설량의 예상높이는?

5cm 이상

10cm 이상

15cm 이상

20cm 이상

25cm 이상

대설주의보 5cm이상, 대설경보 20cm이상

 

11. 서해안형 대설의 원인에 대하여 바른 것은?

한기가 남하하여 따뜻한 서해상 해수면 온도와 대기의 기온차로 눈구름 형성

강원도 등 한반도의 동측에 대설 발생

대기와 해수면의 온도차가 25도 이상이면 대설 발생

동풍이 강하고 상층 서풍이 약할 때 발생

상층 서풍이 강하고 북풍 또는 북동풍이 불 때 발생

 

12. 동해안형 대설의 원인에 대하여 옳지 않은 것?

동해안에서 동풍이 강하고 상층 서풍이 약할 때 발생

산악형은 상층 서풍이 약할 때 산을 넘어가면서 상승하는 기류에서 발생

상층 서풍이 강하고 북풍 또는 북동풍이 불 때 발생

대기와 해수면의 온도차가 20도 이상이면 대설 발생

해안형은 지표부근에 북풍또는 북동풍이 불고 상층에 서풍이 강할 때 발생

 
  
  
반응형

'방재관련 > 방재전문인력인증시험(예상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2 자연재해저감 종합대책  (0) 2023.06.30
5.11 가뭄재해  (0) 2023.06.30
5.9 바람재해  (0) 2023.06.30
5.8 해안재해  (0) 2023.06.30
5.7 사면재해  (0) 2023.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