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2. 조압수조의 형식. 93-1
문제) 6. 조압수조(surge tank)의 설치목적 및 종류와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5-2
문제) 4. 조압수조의 기능, 종류 및 설계 시 수리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9-1
1. 조압수조
⑴ 발전소, 펌프장 등 관수로 내 급격한 압력변화, 유속변화 시 수격작용을 감쇄, 제거하기 위한 수조형식의 조절기구
⑵ 설치목적
① 밸브의 급폐쇄, 펌프의 급정지·급가속시 관내의 과대 압력 발생
② 관내의 과대한 압력과 수격작용을 감쇄 / 제거하기 위함
2. 수격작용

3. 조압수조의 기능
⑴ 수격작용 ⇛ 압축흐름 ⇛ 조압수조 유입
⑵ 수조 내 물의 진동으로 압력 감쇄 (압력에너지 ⇛ 마찰에너지)
⑶ 수조 내 단면적과 진폭은 반비례
⑷ 진폭 크기, 진동시간을 고려하여 최적단면 결정
⑸ 설계의 초점 : 단시간 내에 진동이 안정되는 경제적인 단면결정

4. 조압수조의 수리설계조건
⑴ 전부하 차단조건 : 전부하의 순간차단시 surging의 최고수위가 수조의 천단을 월류하지 않을 것
⑵ 전부하 급증조건 : 전부하의 급증시 surging의 최저수위가 수압관의 천단표고보다 높을 것
⑶ 안정조건 : 수조내 미소진동 발생시 평형상태로 복원되어 안정성을 가질 것
⑷ 감쇄조건 : 부하변화에 중첩되어도 이상surging이 발생하지 않을 것
5. 조압수조의 종류 (단제차수)
⑴ 단동 조압수조(simple surge tank) : 단면적이 큰 1개의 종관으로 보통 사용, 상단은 대기에 노출
⑵ 제수공 조압수조(orifice surge tank) : 수조저부 orifice를 통하여 수압관과 연결된 형태로
조압수조 유입량을 조절하여 압력파의 수압관으로 전달을 제어
⑶ 차동 조압수조(differential surge tank)
① 이중수실구조로 수조내 관경과 동일한 연직원통을 갖고 있는 형태
② 바닥에 내부수실에서 외부수실로 물이 이동하도록 오리피스 설치
③ 수격압 상승시 물의 이동 : 수압관 ⇒ 내부수실 ⇒ 외부수실로 순간적 반응
④ 수격압 감소시 물의 이동 : 외부수실 ⇒ 내부수실 ⇒수압관
⑷ 수실 조압수조(chamber surge tank, closed tank)
① 수조의 상부를 폐색하여 공기쿠션으로 수충작용 흡수
② 좁은 연직수실 + 단면적이 큰 수실로 구성
③ 좁은 수실의 수면승강은 신속하나 넓은 수실은 진동폭이 크지 않음

'수자원개발기술사 > Ⅴ.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44. 댐 여수로 공동현상과 공기연행(공기혼입)* (0) | 2023.05.15 |
---|---|
43. 공동현상(Cavitation) (0) | 2023.05.15 |
41. 수격작용(Water Hammer) (0) | 2023.05.13 |
40. 조정지 / 역조정지 (0) | 2023.05.11 |
39. 가물막이 댐의 대상 홍수량 결정방법 (0) | 202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