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1. 조정지와 역조정지의 차이점. 92-1
1. 조정지
⑴ 전력의 부하변동에 따라서 하루 동안의 하천의 유량을 조절하는 못
⑵ 수로식발전소 : 하천에서 취수하는 양이 하루 동안 거의 일정하므로
수로의 도중에 조정지를 설치하여 수요가 적을 때의 남은 물을 모아 놓고 많을 때에 빼내어
수요량에 적응한 발전을 하고 있음
⑶ 댐식 발전소 : 저수지가 동시에 조정지
⑷ 양수식발전소는 수요가 적을 때에 화력발전을 사용해서 조정지에 펌프로 양수하는 것이며,
조정지 능력을 인공적으로 증강하는 방법임
2. 역조정지
⑴ 수력발전댐에서 부하변동에 따라 사용수량을 변경하면 방수로 하류에서 하천수량은 시시각각 변동됨
⑵ 하류하천의 수량 변동으로 여러 지장을 초래하면
이를 다시 조정하여 자연유량으로 환원하기 위하여 조정지를 도입하는 바, 이를 역조정지라 함
⑶ 역조정지의 크기는 첨두부하시 가동시간에 좌우(보통 2~5 hr/day)
⑷ 홍수시 본댐의 여수로 방류량은 역조정지 규모와는 관계없고, 역조정지 문비 설계에 활용
⑸ 북한강 수계는 저수지가 계단식으로 연속되어 있어 하류저수지가 재조정지 기능을 발휘하므로 별도 설치가 없으나,
충주댐, 대청댐은 재조정지가 있음
3. 역조정지 규모결정

4. 결론
⑴ 조정지는 하천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물을 저장, 발전 및 유량조절 등의 목적
⑵ 역조정지는 하천의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 물을 끌어들이는 시설, 발전 및 홍수조절 등의 목적
'수자원개발기술사 > Ⅴ.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42. 조압수조(surge tank)* (0) | 2023.05.13 |
---|---|
41. 수격작용(Water Hammer) (0) | 2023.05.13 |
39. 가물막이 댐의 대상 홍수량 결정방법 (0) | 2023.05.11 |
38. 유수전환방식* (0) | 2023.05.10 |
37. 연직 방류관의 수위-방류량 관계곡선 결정방법 (0) | 2023.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