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3. 하천에 설치하는 수문을 목적별, 구조별 및 형상별로 구분하고 수문의 위치선정 및 바닥높이 결정시 고려사항을 기술하시오. 89-2
문제) 9. 수문을 목적, 형식, 구조, 형상에 따라 분류. 93-1
문제) 5. 수리학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동보 수문의 형식별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5-3
문제) 5. 수문의 종류, 설치위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7-4
문제) 1. 수문의 종류와 기능을 설명하고 하천에서 수문설치 시 검토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3-4
1. 수문 분류 : 목적, 형식, 구조, 형상.
⑴ 목적에 의한 분류 : (배용역 역조 통갑유육)
① 배수문 : 제내의 배수를 목적
② 용수취수문 : 관개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를 취수하기 위한 목적
③ 역수문 : 보통 지류의 하류부에 설치, 본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
④ 역조수문 : 염수피해방지를 위해 본류 또는 지류를 횡단해서 설치(하구부에 설치)
⑤ 통선수문 : 수운을 주목적으로 설치
⑥ 갑문 : 상하류의 수위차가 있는 구간에서 수운을 위해 설치한 것
⑦ 유량조절 수문 : 지류의 분류량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
⑧ 육갑수문 : 도로 또는 철도로 인하여 하천제방을 계획상 필요한 높이로 축조할 수 없는 경우에
그 부분에 한하여 육갑구조로 만든 것
⑵ 형식에 의한 분류 : 단다
① 단경간 수문 : 통수단면이 하나인 수문
② 다경간 수문 : 통수단면이 다수인 수문, 일반적으로 규모가 큼
⑶ 구조에 의한 분류 : Sluice gate, Rolling gate, Tainter gate, Drum gate
⑷ 형상에 의한 분류 : 수문, 통문, 통관
① 수문 : 본류를 횡단하거나 본류로 유입되는 지류를 횡단하여 제방을 분리시키는 형태로 설치한 문짝을 가진 구조물
② 통문 : 제방을 관통하여 설치한 사각형 문짝을 가진 구조물
③ 통관 : 제방을 관통하여 설치한 원형 문짝을 가진 구조물
2. 수문 설치위치 : 배취수 세수 고교
⑴ 배수가 목적일 경우 제내지반 중에서 가장 낮은 지점
⑵ 취수가 목적일 경우 본류의 하상이 안정된 지점
⑶ 수문은 제방의 일부를 절개하여 설치됨으로 그 수는 적게하고 인접한 것은 통합
⑷ 세굴과 퇴적 또는 하상의 저하 등이 적은 지점
⑸ 수충부나 연약지반은 피하고 하상이 안정된 지점
⑹ 고수부지가 넓은 지점은 설치위치로 적절하지 않음
⑺ 교량 등의 구조물 부근은 피함
3. 바닥고(바닥높이 결정시 고려사항)
⑴ 취수의 경우 바닥고를 너무 낮게 하면 취수량이 과다해질 우려
⑵ 본류의 갈수위가 제내수로 표고보다 낮은 경우 취수구의 위치를 상류에 설치하거나 보를 설치하여 수위를 상승
⑶ 하상변동이 심한 경우와 하상저하 경향이 있는 하천은 바닥높이를 낮추는 것이 좋음
⑷ 배수문의 바닥이 너무 낮으면 토사가 침전하여 유효단면적이 감소하고,
너무 높으면 배수능력이 감소하여 제내측의 완전배수가 불가능
4. 수문 설치방향
⑴ 수문의 설치방향은 제방법선에 직각으로 최대한 간단한 구조
'수자원개발기술사 > Ⅳ.하천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주운수로 형태(자연하천 주운수로) (0) | 2023.04.27 |
---|---|
24. 수문의 내진등급 설정방법* (0) | 2023.04.27 |
22-1.도류벽과 노치(Notch) (0) | 2023.04.27 |
22. 어도* (0) | 2023.04.27 |
21-1.여울의 세 가지 형태를 설치방향에 주안점을 두고 설명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