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6. 필댐(Fill Dam)의 표준단면 설계를 항목별로 설명하시오. 96-2
1. 댐 위치 및 형식검토
2. 축조재료 설계(5단계), 필터재료, Piping, 수압할렬
⑴ 재료원 조사
⑵ 재료원별 소요량 파악 : 심벽재료원, 사력재료원, 석재원
⑶ 재료원별 매장가능량 및 사용가능량 검토 : 경제적 규모 검토
⑷ 재료원별 기준검토 : 입도, 소성지구, 함수비, 전단강도
⑸ 재료원 설계(단면설계)
① 재료구분 : 차수, 투수, 반투수
② 존구분 : Rock, Filter, Core, Transition
ⓐ 불투수성부 : 차수 ⇛ Core zone
ⓑ 투수성부 : 댐체 안정유지 ⇛ Rock zone
ⓒ 반투수성부 : 재료급변에 의한 사고방지 ⇛ Filter zone, Transition zone
⑹ Piping
① 필댐 : 침투수 완전 차단 X ⇛ 저수지 운영상 허용되는 범위내의 침투량 허용
② Piping 방지 : 양호 재료, 양질 필터
③ 해석방법 : 도식해법, 수치해석법, 모형실험법
⑺ 수압할렬(hydraulic fracturing)
① 정의 : 수압에 의해 재료가 파괴되는 현상, 불투수부 자중에 의한 유효응력 < 수압
② 원인 : 부등침하, 응력전이
③ 대책 : 심벽폭 넓게, 필터 효율적 설계, Core 습윤다짐
3. 기초 설계(4단계), grouting
⑴ 지형, 지질확인
⑵ zone별 기초확인(차수존, 필터존, 락존)
⑶ 배수공 설계 : 배수공 위치검토, 배수도랑
⑷ 그라우팅 설계 : 차수그라우팅, 압밀그라우팅
① 차수그라우팅 : 차수벽의 연장, 침투수에 의한 양압력, 파이핑현상으로부터 댐의 안전성 확보, 차수커튼
② 압밀그라우팅 : 표층부근 굳게하여 불투수가 되도록 하는 동시에 지지력도 증가,
주로 콘크리트댐, 댐높이가 큰 코어형 댐
③ 블랭킷 그라우팅 : 커튼그라우팅에 앞서 시공 ⇛ 얕은 심도에 넓은 범위의 수밀성 zone 확보
(커튼 그라우팅 양측에 그라우팅 실시 ⇛ 표층 가까운 지반을 붙투수 ⇛ 침투로 길이)
④ Rim grouting
4. 본 댐 표준단면 설계(내진설계 : 진도법)
⑴ 댐축 결정
① 기초바닥 지질양호, 두께 두꺼울수록
② 댐축조량이 최소가 되는 지형(약간 상류측으로 휘는 아치형 : 반지름 400~1500m)
⑵ 제체의 단면구성(zoning)
① zone 설계
ⓐ 기능 : 차수, 배수, 외력에 대한 안정성
ⓑ 구성 : 침투, 투수성부(shell zone, transition, filter zone 등), 불투수성부(차수벽 포함)
② 사면기울기(균일형 상류 1:3.0, 하류 1:2.5)
⑶ 여유고 산정
① 파랑고(물결 처오름 높이를 포함한 파랑고, 지진에 의한 파랑고 등)
⑷ 댐 둑마루폭
⑸ 더쌓기(여성토)
① 침하량을 예측하여 충분한 양의 덧쌓기 필요
② 종단방향으로 캠버(camber), 양안 접합부는 최저 10cm정도 더쌓기
⑹ 불투수층 존(차수벽)
① 불투수층 존의 두께 : 토질이나 댐 높이에 관계없이 수압의 30~50%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함
⑺ 비탈면 기울기와 소단
① 최소의 축조량으로 소요의 안전도를 얻도록 결정
⑻ 상류측 비탈면 보호공
① 파랑에 의한 침식방지, 저수위 급강하시 댐체 재료 유실 방지
② 제체의 토립자 유출방지를 위한 필터층 설치
⑼ 하류측 비탈면 보호공 : 호우에 의한 침식방지, 양안부에 표면 배수시설 설치
⑽ 드레인
① 기능 : 침투류에 의한 침투수압의 감소, 파이핑 방지, 제체 침하방지, 내부침식방지 등
② 종류 : 하류 비탈끝 드레인, 수평 드레인, 직립 드레인, 복합 드레인, 사면보호공 기초 드레인 등
5. 안정성 검토 : 침투수, 사면안정
⑴ 최소안전율 결정(case별)
⑵ 설계하중 및 물리정수(자중, 정수압, 지진, 점착력, 내부마찰각, 단위중량, 간극압)
⑶ case별 안정성 검토
6. 매설계기
가. 필댐 매설계기
⑴ 축조과정 : 안전과 품질관리
⑵ 운영 : 댐 내부 응력변화 ⇛ 댐체거동관측 : 안전관리
⑶ 20% 여유물량 : 고장고려
⑷ 위치 : core 주변
⑸ 매설계기 관리지침(수자원연구소)
① 간극수압계 : 차수부 설치
ⓐ 공사중 : 간극수압 측정 – 축조속도관리
ⓑ 담수후 : 간극수압 소산 상황, 침윤선 추적, 지진시 제체내 간극수압거동
② 토압계 : 유효응력 파악, 중량에 의한 토압, 간극수압계와 같은 위치
③ 층별침하계
④ 수평변위계
⑤ 누수측정장치
⑥ 지진계
⑦ 암반변위측정계
⑧ 전단변위측정계
나. con’c 댐 매설계기
⑴ 공사기간 중 시공관리 : 제체 및 기초암반의 균형, 균열방지 계획 수립
⑵ 공사완료 직후 안전관리 : 제체 및 기초암반의 거동상태
⑶ 공사 완료 후 운영 : 안전진단, 관리기준 설정, 분쟁시 증거자료
⑷ 장래 설계와 연구 위한 자료 : 설계 및 시공방법 개선, core history 축척
⑸ 위치 : 최대변위와 최대응력 작용지점
① FEM 해석결과 제체내 가장 위험 단면
② 부등침하 ⇛ 인장응력
다. 매설계기
⑴ 제체
① 온도 : 온도계
② 변형 : 개도계, 변형계, 외부변형률계
③ 응력 : 응력계, 무응력계
④ 누수 : 누수량 측정계
⑵ 기초암반
① 응력 : 간극수압계
② 양압력 : 양압력계
③ 지진 : 지진계
④ 변위 : 층별 침하계
7. 안정계산
'수자원개발기술사 > Ⅴ.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필댐의 안정조건과 파괴원인 (0) | 2023.05.05 |
---|---|
23. 필댐(fill dam) (0) | 2023.05.05 |
21. 여유고 (0) | 2023.05.04 |
20. 댐 개발규모 검토절차(최적규모의 결정) (0) | 2023.05.03 |
19. 다목적 댐의 비용배분 (0) | 2023.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