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2. 제방과 호안의 안정성 확보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4-4
문제) 4. 호안파괴의 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9-4
문제) 7. 하천재해 중 호안유실의 피해원인과 저감대책을 설명하시오. 105-2
문제) 5. 소하천 제방 및 호안의 대표적인 손상유형과 유지관리를 위한 점검 및 보수 내용을 설명하시오. 123-2
문제) 3. 하천호안의 피해유형과 현장 점검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9-3
1. 호안의 안정성 평가
✓ 홍수시 발생하는 하도내 유속 및 소류력에 견딜 수 있는 정도 및 내구성을 판단하는 평가
⑴ 유속의 적용
① 홍수심별 실측자료의 적용을 원칙
② 실측자료가 없을 경우 기 수립된 수리계산 결과를 활용하거나 별도의 수치해석에 의한 유속을 추정하여 적용
③ 지천의 하도는 자체유량의 수치해석에 의한 유속과 비교하여 큰 것을 적용한다.
④ 하도내의 평균유속을 적용
⑵ 소류력의 적용
① 기 수립된 수리계산 결과를 활용하거나 별도의 수치해석에 의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소류력을 추정하여 적용

2. 호안 파괴의 원인 및 대책 (기세, 머세, 비덮, 구변, 뒷흡, 잔수)
⑴ 기초부분 세굴에 의한 파괴(가장 빈번히 발생)
⇛ 기초부분 하상이 세굴되지 않도록 기초깊이, 밑다짐 공법 채택.
⑵ 호안머리부분 세굴에 의한 파괴
⇛ 호안머리보호공을 설치
⑶ 유수력에 의한 비탈덮기 파괴
ⓐ 유수력에 견딜 수 있는 호안 크기
ⓑ 찰붙임에서는 모르터를 제대로 시공
ⓒ 종단방향 10∼20m간격으로 구조이음눈 등 설치 (∵일부분의 파괴가 전체에 미치지 않도록)
⑷ 호안구조 변화점 부근의 파괴
ⓐ 기존제방과 신설호안의 사이에 완화구간을 설치
ⓑ 신설호안의 조도를 크게 하는 것이 좋음
ⓒ 기초(비탈멈춤)를 설치하는 것도 고려
⑸ 뒷채움 토사 흡출에 의한 파괴
⇛ 뒷채움 토사의 양호한 입도분포 및 배면매트 설치
⑹ 잔류수압에 의한 파괴
⇛ 수위변화가 심한 하천이나 간만의 차가 큰 감조부 : 역학적 안정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함
3. 결론
⑴ 호안 파괴는 주로 기초부분 세굴에 의한 것이지만, 호안머리부분 세굴에 의한 파괴, 비탈덮기 파괴,
호안구조 변화점 부근의 파괴, 뒷채움 토사 흡출에 의한 파괴, 잔류수압에 의한 파괴 등
⑵ 호안의 파괴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
'수자원개발기술사 > Ⅳ.하천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수제* (0) | 2023.04.22 |
---|---|
12. 만곡부의 수리적 특성과 호안계획시 고려사항 (0) | 2023.04.22 |
10. 호안공 비탈덮기 공법 선정시 평가항목 (0) | 2023.04.21 |
9. 호안 (0) | 2023.04.21 |
8. 하천구역내 나무심기 (0) | 2023.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