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개발기술사/Ⅳ.하천공학

11. 호안의 안정성*

견마지로 2023. 4. 22. 08:22
  
  

문제) 2. 제방과 호안의 안정성 확보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4-4

문제) 4. 호안파괴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9-4

문제) 7. 하천재해 중 호안유실피해원인과 저감대책을 설명하시오. 105-2

문제) 5. 소하천 제방 및 호안의 대표적인 손상유형과 유지관리를 위한 점검 및 보수 내용을 설명하시오. 123-2

문제) 3. 하천호안의 피해유형과 현장 점검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9-3


1. 호안의 안정성 평가

홍수시 발생하는 하도내 유속 소류력에 견딜 수 있는 정도 및 내구성을 판단하는 평가

  유속의 적용

   ① 홍수심별 실측자료의 적용을 원칙

   ② 실측자료가 없을 경우 기 수립된 수리계산 결과를 활용하거나 별도의 수치해석에 의한 유속을 추정하여 적용

   ③ 지천의 하도는 자체유량의 수치해석에 의한 유속과 비교하여 큰 것을 적용한다.

   ④ 하도내의 평균유속을 적용

  소류력의 적용

   ① 기 수립된 수리계산 결과를 활용하거나 별도의 수치해석에 의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소류력을 추정하여 적용

  
  

2. 호안 파괴의 원인 및 대책 (기세, 머세, 비덮, 구변, 뒷흡, 잔수)

  초부분 굴에 의한 파괴(가장 빈번히 발생)

   ⇛ 기초부분 하상이 세굴되지 않도록 기초깊이, 밑다짐 공법 채택.

  호안리부분 굴에 의한 파괴

   ⇛ 호안머리보호공을 설치

  유수력에 의한 기 파괴

   ⓐ 유수력에 견딜 수 있는 호안 크기

   찰붙임에서는 모르터를 제대로 시공

   종단방향 1020m간격으로 구조이음눈 등 설치 (일부분의 파괴가 전체에 미치지 않도록)

  호안화점 부근의 파괴

   ⓐ 기존제방과 신설호안의 사이에 완화구간을 설치

   신설호안의 조도를 크게 하는 것이 좋음

   기초(비탈멈춤)를 설치하는 것도 고려

  채움 토사 출에 의한 파괴

   ⇛ 뒷채움 토사의 양호한 입도분포 배면매트 설치

  압에 의한 파괴

   ⇛ 수위변화가 심한 하천이나 간만의 차가 큰 감조부 : 역학적 안정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함

3. 결론

  ⑴ 호안 파괴주로 초부분 에 의한 것이지만, 호안리부분 에 의한 파괴, 기 파괴,

       호안화점 부근의 파괴, 채움 토사 에 의한 파괴, 에 의한 파괴 등

  ⑵ 호안의 파괴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