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개발기술사/Ⅰ.수문학

17. 증발산량 (잠재증발산량)

견마지로 2023. 3. 25. 11:23

문제) 4. 증발산의 정의와 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9-3

문제) 2. 잠재 증발산량(Potential Evapotranspiration) 및 증발산량 산정방법. 129-1


1. 정의

   ⇛ 강수량은 태양열에너지에 의해 증발, 증산, 승화현상에 의해 대기중으로 돌아감

  ⑴ 증발(evaporation) : 수표면 혹은 습한 토양표면의 물분자가

                                       태양이 방사하는 열에너지를 얻어 액체상태로부터 기체상태로 변환하는 과정

  ⑵ 증산(transpiration) : 식물의 엽면을 통해 땅 속의 물이 수증기의 형태로 대기 중에 방출

  ⑶ 증발산(ET : evapotranspiration) : 에 의한 물의 수증기화를 총칭

  ⑷ 잠재증발산량 (Potential ET): 8 ~ 15cm의 목초가 토양을 완전히 덮고 일정한 크기로 왕성하게 자라며

                                                   물이 부족하지 않도록 충분히 공급되는 상태에서의 증발산량을 의미

     ① 수자원계획 : 공급량의 양적손실 판단기준, 이수측면 중요

     ② 호우시 증발산량⇓ ⇛ 치수측면 무시

     ③ 잠재증발산량 : 기준작물 증발산량서로 다른 작물 : 서로 다른 잠재증발산량

  ⑸ 실제증발산량 : 잠재증발산량 x 작물계수

  ⑹ 승화현상 : 눈 혹은 얼음과 같은 고체상태에서 액체를 거치지 않고 기화하는 현상

2. Dalton의 법칙

  ⑴ Dalton 법칙 : 자유표면으로부터 물 분자의 이동연직방향의 증기압 구배에 비례한다는 경험식

  ⑵ 총압력 : 증기압(수증기의 압력)과 건조한 공기압력의 합

  ⑶ 포화증기압 : 혼합체가 수증기로 완전히 포화되었을 때의 증기압

  ⑷ 포화미흡량 : 실제 증기압하에서 더 증발하여 포화상태에 도달할 때까지의 증발량

3. 증발현상의 지배인자 : 온도, 바람, 수질, 수표면의 성질과 형상, 상대습도

  ⑴ 증발률 ⇑ : 도, 질, 도, 바람

  ⑵ 증발률 ⇓ : 상대습도 ⇑

4. 증산현상의 지배인자

  ⑴ 물생리학적 인자 : 다공 밀도와 특성, 엽면 구조식물병리학적인 요소

  ⑵ 경학적 인자 : 도, 바람, 태양복사열, 토양의 함유수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