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개발기술사/Ⅰ.수문학

14-1. IDF 곡선(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견마지로 2023. 3. 25. 10:59

문제) 6. 강우강도식 유도시 ①단 장기 구분의 필요성, ②단 장기 구분의 대규모 유역과 소유역규모에 대한 실무적 적용 방안을 홍수량 산정과 연계하여 설명하시오. 110-1

문제) 7. 소유역에 6차 전대수 다항식의 강우강도식을 적용할 때 예상되는 문제점. 111-1


1. IDF 곡선(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정의

  ⑴ 강우강도(I) : 단위시간에 내리는 강우량의 척도(mm/hr)

  ⑵ 지속기간(D) : 강우가 지속되는 시간장경

  ⑶ 생기빈도(F) : 일정한 기간동안 어떤 크기의 호우가 발생할 횟수

                            통상 임의의 강우량이 1회 이상 같아지거나 초과되는데 소요되는 년수로 표시

  ⑷ 강우강도-지속기간 관계에 강우의 생기빈도(생기확률)을 도입하면,

      강우강도-지속시간-재현기간 곡선(IDF curve) 작성이 가능

2. 강우강도식 유도(강우강도-강우지속기간 관계)

  ⑴ 목적 :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이 없는 경우에 내삽에 의한 보간을 하기 위하여 산정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의 추이의 이상 유무도 검토할 수 있음

   ⑵ 일반적으로 확률강우량을 토대로 강우강도식을 산정

   ⑶ 전반적으로 회귀가 양호하면 하나의 강우강도식으로 유도하고,

        하나의 강우강도식으로 나타내기 곤란한 경우 ·기간, ··장기간 등으로 적절히 구분

   ⑷ 결정계수1에 가까운 정도를 고려하여 채택하는 것이 원칙

3. 실무적용

  ⑴ 지속기간(10, 60, 120분 등)을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강우강도의 상수 및 상관계수가 상이해지므로

       강우강도식의 일관성이 결여

  (같은 관측소의 강우자료를 사용하더라고 지속기간의 선택에 따라 강우강도식은 종류 및 상수 등이 설계자에 따라 다를 수 있음)

  ⑵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안연구,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등의 설계지침에서 지속기간을 어떤 것을 선택하라는 제시 필요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