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토목기사(실기시험 말따먹기) 39

2007년 4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2007년 4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155. 내부 진동기에 대하여 채우시오. ① 진동기를 하층 콘크리트 속으로 0.1 미터 정도 찔러 넣는다. (0.1미터). ② 내부진동기는 연직으로 찔러 넣어지며 간격은 0.5 미터 이하로 일정하게 한다.(0.5미터이하). ③ 내부진동기는 1개소 당 진동시간을 5초에서 15초를 넘어서는 안된다. (5초 ~10초). 156. 말뚝기초에 발생하는 부마찰력의 발생원인 4가지. [ 연. 말. 지. 진. ] ① 연약 점토층의 압밀 침하 진행. ② 말뚝 간격을 조밀하게 시공. ③ 지하수위 저하. ④ 진동으로 인한 압밀 침하 발생. 158. 강성형교에서 강재 거더와 바닥판 콘크리트 사이에서 각종 하중의 조합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장치의 이름은? 전단연..

2007년 2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2007년 2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142. 보강토공법에서 지오텍스타일이 갖는 주요기능 4가지. [ 분. 방. 차. 배. 보. 필. ] ① 분리 기능. ② 방수 기능. ③ 차단 기능. ④ 배수 기능 ⑤ 보강 기능 ⑥ 필터 기능. 143. 케이슨 시공방법에 따라 3가지 분류. [ 박. 오. 공. ] ① 박스 케이슨. ② 오픈 케이슨. ③ 공기 케이슨. 144. 강상자형교를 box단면의 구성형태에 따라 3가지로 분류. [ 단. 다. 다. ] ① 단실 박스. ② 다실 박스. ③ 다중 박스. 145. 숏크리트 타설시 건식 방법의 단점 3가지는? [ 반. 품. 분. ] ① 반발(rebound)량이 많다. ② 콘크리트 품질 관리가 어렵다. ③ 분진 발생량이 많다. 146. 콘크리트 슬래브가 팽창한 때 줄눈의 부적정..

2007년 1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2007년 1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131. 토적곡선을 작성하는 목적 5가지? [ 토배. 운토. 평운. 시방. 운기. ] ① 토량 배분. ② 운반토량 산출. ③ 평균 운반거리 산출. ④ 시공 방법의 결정. ⑤ 운반거리에 의한 토공기계의 선정. 132. ① 일평균 기온이 4℃ 이하는 한중 콘크리트 타설 준비를 하며, 콘크리트 타설시 기온이 삼십도씨를 넘으면 서중 콘크리트로서의 여러 가지 성상이 현저해지므로, 일평균 기온이 25℃ 이상일 때는 서중 콘크리트 타설 준비를 하는 것이 좋다. ② 비비기로부터 치기가 끝날때까지 시간은 25℃이상 일때는 1.5시간, 25℃이상 이하일 때도 2시간을 넘어서는 안된다. 133. 콘크리트 포장은 줄눈 및 철근의 유무에 따라 구분되는 종류 3가지. [ 무. 철. 연. 프. ..

2006년 4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2006년 4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114. 동상이 일어나기 쉬운 조건 3가지. [ 동. 물 .영. 모. ] ① 동상이 일어나기 쉬운 흙(실트질토)이 존재. ② 물의 공급 충분. ③ 영하의 온도가 지속. ④ 모관상승고가 커야함. 116. 콘크리트-폴리머 복합체로 이루어진 콘크리트의 종류 3가지. ① 폴리머 콘크리트. ②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③ 폴리머 함침 콘크리트. 117. 옹벽 배수공의 종류 4가지. [ 연속. 저. 경. 간. ] ① 연속 배면 배수공. ② 저면 배수공. ③ 경사 배수공. ④ 간이 배수공. 118. 지오텍스타일이 갖는 주요기능 4가지. [ 분. 방. 차. 배. 보. 필. ] ① 분리 기능. ② 방수 기능. ③ 차단 기능. ④ 배수 기능 ⑤ 보강 기능 ⑥ 필터 기능. 119. 프리스..

2006년 2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2006년 2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103. paper drain공법에서 Drain Paper의 구비조건 3가지. [ 통. 강. 투. ] ① 세립토가 필터를 통과해서는 안된다. ② 필터는 높은 횡압을 받아 압축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이 있어야 한다. ③ 필터는 시공시 손상을 받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이 있어야 한다. ④ 투수계수는 주변 흙의 투수계수보다 작아서는 안된다. 104. 서중 콘크리트 치기에 지켜야 할 점 4가지? [ 35℃. 콜. 습. 살. 1.5. ] ① 콘크리트 치기 할 때의 온도는 35℃이하여야한다. ② 콜드조인트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③ 콘크리트로부터 물을 흡수할 우려가 있는 부분은 습윤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④ 치기 전 지반과 거푸집에 살수. ⑤ 콘크리트 비빈 후 1.5시간 이내에 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