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토목기사(실기시험 말따먹기) 39

2014년 1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2014년 1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3. 마샬안정도시험 시험결과로 얻을 수 있는 3가지. [ 공. 안. 흐. 공밀. ] ① 공극률. ② 안정도. ③ 흐름값. ④ 공시체밀도. 8. 차량충격흡수시설. ① 철제드럼. ② 모래채우기 플라스틱통. ③ 하이드로셀 샌드위치. ④ 하이드리셀 샌드위치. 9. 방파제 구조형식. [ 경. 직. 혼성. ] ① 경사제. ② 직립제. ③ 혼성제. 10. 샌드매트 역할. [ 지. 압. 시주. ] ① 지하수위저하. (성토내 지하배수층 형성.) ② 압밀촉진. (연약지반 상부배수층 형성.) ③ 시공기계의 주행성확보. 13. 수분이 많은 점토층에 반투막 중공원통을 넣고, 그 안에 농도가 큰 용액을 넣어서 점토속의 수분을 빨아내는 공법. : 침투압공법. (MAIS공법.) 16. (1) 강제..

2013년 4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2013년 4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5. TBM 장점 3가지. [ 주. 낙. 여. 복. 지. 노 .공. ] ① 주위지반을 이완시키지 않는다. ② 낙반이 적어 작업자의 안전성이 높다. ③ 여굴이 적다. ④ 복공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⑤ 지보공이 절약된다. ⑥ 노무비가 절약된다. ⑦ 공기오염도가 적다. 6. 약액주입공법에서 주입약액의 구비조건 3가지. [ 초. 고. 오. ] ① 초기점성이 작아야 한다.(유동성을 갖도록.) ② 고강도를 발휘.(응결시간 경과 후.) ③ 흙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성분이 없어야 한다. 7. 동상 발생하기 쉬운 조건 3가지. [ 동. 물 .영. 모. ] ① 동상이 일어나기 쉬운 흙(실트질토)이 존재. ② 물의 공급 충분. ③ 영하의 온도가 지속. ④ 모관상승고가 커야함. 8..

2013년 2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2013년 2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366. 성토구조물의 변화를 관측,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기. ① 지하수위계. ② 지중경사계. ③ 지표침하계. ④ 층별침하계. ⑤ 간극수압계. 367. 오픈케이슨 공법의 장점 3가지. [ 기. 지. 침. 공. ] ① 기계설비 비교적 간단. ② 지지력과 강성이 큼. ③ 침하깊이에 제한 없음. ④ 공사비 저렴. 368. 강널말뚝 타입방법 4가지. [ 유. 바. 오. 워. ] ① 유압식 압입 인발공법. ② 바이브로해머에 의한 항타공법. ③ auger 압입공법. ④ water jet공법. 369. 말뚝 기초 시공에서 부마찰력을 줄이는 방법 3가지. [ 표. 역. 이. 프. ] ① 표면적이 작은 말뚝(H-형강말뚝)을 사용. ② 말뚝 표면에 역청재를 칠함. ③ 이중관 사용. ④ ..

2013년 1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2013년 1회 토목기사 실기 암기 355. Bar chat공정표(막대공정표)의 장점 3가지. [ 공진. 전. 작. 단순. ] ① 공사계획과 진척사항을 쉽게 알 수 있다. ② 전체 공정 파악이 용이하다. ③ 작성이 쉽다. ④ 공정표가 단순하여 경험이 적은 사람도 이해하기 쉽다. 356. 도로 노상의 지지력 평가방법 3가지. [ 현. 평. C. 프. ] ① 현장밀도시험. (들밀도 시험). ② 평판재하시험. ③ CBR시험. (노상토지지력비). ④ proof rolling. 357. 댐 방류부의 빠른 유속을 감세시켜 고유속 흐름의 막대한 에너지로 인한 하상 또는 수로 바닥의 침식과 세굴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댐의 주요 부속 구조물은? 감세공. 358. 파일에서 부마찰력이 발생하는 원인 3가지. [ 연. 말. 지..

토목기사 합격 요령

토목기사 합격 요령1. 필기 시험    (1)  과년도 문제 위주의 교재를 구입하여          운전면허  필기시험 보는 것 처럼         객관식인 답에 동그라미 먼저 체크하고,         문제와 동그라미 체크한 답만 10번 정도 보면         답 들이 눈에 익어 시험볼 때 지문을 다 읽지 않아도 답들이 보임        (한국산업공단 국가자격시험의 경우 과년도에서 60%이상이 출제)         문제 + 답만 자주보면 계산문제의 답도 계산하지 않아도  답들이 보임    (2)  토질 및 기초 과목은 실기시험을 고려하여          과년도의 계산문제의 답을 유도할 수 있을 정도로 공부할 것    (3) 자신있는 과목(3과목)을 선정하여 80점이상을 목표로 공부         ( 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