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5. 기존댐의 치수능력 증대방안을 구조적 및 비구조적대책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제93-3회
문제) 3. 치수와 이수차원에서 기존 댐 재개발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1-3
문제) 4. 저수지·댐의 치수능력증대사업의 정의 및 종류. 134-1
1. 기존댐 치수능력 증대방안 추진배경
◦ 최근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 등으로 설계홍수량에 대한 댐 설계기준 강화 및 가능최대강수량(PMP)이 크게 증가
* PMP재산정 결과 : 소양강댐(632㎜→810㎜, 132%증), 영천댐(241→715㎜, 317% 증)
◦ 홍수시 댐체 월류 방지를 위한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하여
이에 대비하기 위해 범 정부차원의 기존댐 치수능력증대 사업 추진
* 2002년 태풍 “RUSA”시 강릉지역 동막댐, 장현댐 등 관개용수댐 붕괴
2. 추진경위
◦ 98 ~ 02 : 정밀안전진단 시행( * 소양강댐 등 7개댐 수문학적 안정성 확보 미흡, 대책 수립 추진)
◦ 01. 7. 4 : 가능최대강수량(PMP) 재산정(건교부)
◦ 03. 4. 4 : 자연재해대비 실태감사(감사원) - 댐 안전성 조기확보 필요
◦ 04. 9. 23 : 기존댐 치수능력증대사업 기본계획 수립
* PMP․PMF 재산정, 댐 수문학적 안정성 검토 및 치수능력증대방안 제시
3. 안정성 확보대책
◦ 극한 홍수에 대비하여 장기적으로 구조적 안전대책을 추진하고, 구조적 대책 완료 전까지 비구조적 홍수대책 추진
◦ 장기대책 : 보조(비상)여수로, 파라펫월 등 치수능력증대사업
◦ 단기대책 : 수위조절 등 댐 운영방식 조정 운영
4. 치수대책 (기존댐 안정성 검토 : 월류, 여유고 부족 등)
⑴ 구조적 대책
① 기존여수로 확장,
파라펫트월,
기존여수로 확장 + 파라펫트월,
여수로 구조개선,
여수로 바닥굴착,
보조여수로(터널식, 개거식) 신설,
제체보강
② 댐하류사면 콘크리트 보강(평화의 댐),
상류댐건설+보조여수로 신설(충주댐, 남강댐)
③ 저사댐 축조
⑵ 비구조적 대책
① 합천댐 : 홍수조절방식 변경(SRC → 수정 Rigid Rom)
② 홍수예ㆍ경보시설
③ 소양강댐, 임하댐 : 홍수기 제한수위 조절
④ 나머지댐 : 홍수기 예비 방류를 통해 댐 수위를 낮게 유지
'수자원개발기술사 > Ⅴ.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 기존저수지 저수용량 증대방안 (0) | 2023.05.16 |
---|---|
50. 치수와 이수차원에서 기존 댐 재개발 방안 (0) | 2023.05.16 |
48. 안장댐(Saddle Dam) (0) | 2023.05.16 |
47. 콘크리트 중력댐 갤러리(gallery)의 종류와 설치목적 (0) | 2023.05.16 |
46. 댐 그라우팅의 종류 및 시공방법 (0) | 2023.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