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5. 강변(천변)저류지 및 홍수조절지에 대하여 비교 설명하시오. 95-4
문제) 4. 하도외저류(off-line) 방식을 이용한 강변저류지 설계 절차를 설명하시오. 이 때 고려하여야 할 주요 문제점 및 개선방안도 포함시켜 설명하시오. 96-3
문제) 1. 주위제(周圍堤)의 정의와 설계시 고려사항을 설명. 107-1
문제) 4. 하천의 저류용량확보 및 유량분기를 위한 횡월류량 산정방법 및 횡월류식 천변저류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8-2
문제) 4. 천변저류지의 정의 및 기능. 111-1
1. 강변(천변)저류지 및 홍수조절지
⑴ 지구온난화, 엘리뇨현상 등 기상이변으로 홍수피해 급증
⑵ 하천에서 분담하던 홍수량 ⇛ 유역전체가 분담하도록 치수계획 체계 전환
(과거 제방위주의 치수 한계를 극복 ⇛ 유역내 홍수량을 지역별, 시설물로 배분하는 분산홍수방어개념)
⑶ 분산홍수 방어시설물 : 천변저류지, 홍수조절지 등

2. 천변저류지
⑴ 하천 또는 수로에 접하여 제방의 일부를 낮춘 월류언 이용 ⇛ 첨두홍수량의 일부 저류
⑵ 구하도 복원개념에 바탕
⑶ 첨두홍수량 조절효과가 우수
① 하천상류 : 수위저감 효과
② 하천하류 : 홍수량 저감 효과
⑷ 일반적으로 침수취약지구에 설치 ⇛ 취약지역해소 및 다른 지역 치수안정성 제고
⑸ 다른 홍수조절 대안처럼 대규모 구조체를 필요로 하지 않음
⑹ 상대적으로 넓은 평면적 공간 필요
- 현재 농경지로 사용하는 제내지를 천변저류지로 활용할 경우,
지역 주민들의 심리적 거부감을 극복해야하는 부담이 있음
⑺ 홍수조절방식은 Off-line저류방식으로 저류수심을 크게 할 수 없는 제약으로 인해 대규모 용량확보 어려움
3. 홍수조절지
⑴ 상류 배수위 영향에 따른 수몰지 면적의 비중에 따라 댐(Dam)과 언(Barrage)의 형식으로 구분
⑵ 일종의 홍수지체댐 : 상류홍수량을 하도 내에서 일정량 저류하여 홍수파의 진행을 지체시킴
⑶ 홍수시 일시적 저류
⇛ 일정지역의 침수가 필연적
⇛ 평상시 담수하지 않을 때 토지이용방안이나 이용제한 등 문제 해결이 선행
⑷ 주로 유역을 개발함에 따라 하류에 홍수량이 증가할 것을 예상하고, 개발지역내에 설치하는 지역외 저류시설
⑸ 다목적 댐에 비해 생태환경의 변화가 적으며, 댐 건설에 따른 부정적인 시각 극복할 수 있는 대안임
⑹ 장·단점

4. 공통점과 차이점
⑴ 공통점
① 평상시는 담수하지 않고 홍수시 일시 저류
② 하도내 첨두홍수량을 낮추어 하류부의 홍수피해 경감
⑵ 차이점
① 홍수조절지는 하도 내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문이 있음
5. 평가
⑴ 천변저류지는 하천의 계획방류량 이하의 수위까지만 홍수조절량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홍수저감에 제약이 따름
⑵ 홍수조절지는 하도에 수문을 설치하여 홍수시 하도 수위를 상승 및 지체시켜 안정적 월류량을 확보함으로 천변저류지에 비해 안정적인 홍수조절효과를 기대
⑶ 현재 국내에서는 배수위 영향을 최소화하고, 홍수시 일시 저류하는 구조물의 특성상 언의 형상을 띄는
홍수조절지를 주로 추진 (예 : 군남홍수조절지, 담양홍수조절지 등)
<참고> 홍수조절지 설치위치
⑴ 지형 및 지질조건이 적절한 지점
⑵ 홍수조절 효과가 유리한 지점
⑶ 상류 침수피해 영향이 적은 곳
⑷ 저수용량 확보가 충분히 가능한 지점
⑸ 수몰지의 환경적, 경제적 손실이 작은 곳
⑸ 홍수조절지 파괴시 피해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곳
<참고> 홍수조절지 설치시 유의사항
⑴ 수중 및 주변 생물에 대한 환경적인 영향 검토 필요
⑵ 토지이용 등 주변지역의 면밀한 조사 필요
⑶ 조절지 내 퇴적 토사 및 조절방안 검토
⑷ 상·하류의 수리학적 영향을 충분히 검토
⑸ 조절지 건설 이후의 강가 생물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 필요(모니터링 필요)
1. 주위제
⑴ 강변저류지와 제내지 인근 주거지역 사이에 범람수의 거동을 제어해 줄 수 있는 제방이 필요하며 이를 주위제라 정의
⑵ 주위제 개축 필요 여부
① 인위적인 주위제 개축 불필요 : 제내지 지반고 ≥ 최대담수위 + 여유고
② 인위적인 주위제 개축 필요 : 제내지 지반고 < 최대담수위 + 여유고
⑶ 제내지 우수유출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강변저류지로 유입되는 경우 : 강변저류지의 최대담수위에 의한 배수기능에
대한 검토를 행하여 대책을 수립

'수자원개발기술사 > Ⅲ.하천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49. 홍수터관리방안 (0) | 2023.04.06 |
---|---|
48. 강변저류지(on-line과 off-line) (0) | 2023.04.06 |
46. 홍수방어계획(구조적 대책 / 비구조적 대책)* (0) | 2023.04.06 |
45. 배수구간(Back water)에서의 제방고와 둑마루폭 (합류부 처리방법)* (0) | 2023.04.05 |
44. 계획홍수위 수위보정절차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