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개발기술사/Ⅴ.댐

37. 연직 방류관의 수위-방류량 관계곡선 결정방법

견마지로 2023. 5. 10. 23:05
  
  

문제) 1. 저류지에 설치된 연직 방류관의 흐름은 웨어(Weir)흐름, 오리피스(Orifice)흐름, 관수로흐름(자유낙하 또는 하류통제)으로 구분된다. 연직 방류관의 수위-방류량 관계곡선 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7-3

문제) 3. 유역 개발에 따라 증가하는 홍수량을 해당 유역 내에 저류하기 위해 저류지를 설치한다. 이 저류지에 설치된, 다공성 연직방류관(방류관 벽면에 여러 개의 구멍이 뚫린 연직방류관: perforated riser pipe)의 수위-방류량 관계곡선을 그리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0-3


1. 연직방류관의 수위-방류량 관계곡선 결정방법

  ⑴ 수위-방류량 관계곡선은 연직관, 오리피스 등과 같은 설치하는 방류시설의 종류에 따라

        작성하는 방법이 달라지게 되며, 침사지의 방류시설로는 연직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음

  ⑵ 연직관의 경우 상단을 통상 가정한 토사조절부 상단에 위치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연직관의 에너지손실을 나타내면 아래와 같음

연직관의 에너지손실 (출처 : 수자원설계실무(제2판))

  ⑶ 연직관의 흐름조건웨어흐름, 오리피스흐름, 관수로흐름(자유낙하), 관수로흐름(하류통제) 등으로 구분되므로,

        흐름 조건을 적절히 구분하여 수위-방류량 관계곡선을 작성

연직관의 흐름조건 분류 (출처 : 수자원설계실무(제2판))

  ⑷ 연직관의 수위-방류량 관계곡선 웨어 공식, 오리피스 공식, 관수로 공식 등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작성한 후, 수위별방류량이 가장 작은 흐름조건을 선택하여 결정

연직관의 수위-방류량 관계곡선 작성 방법 (출처 : 수자원설계실무(제2판))

  ⑸ 연직관이나 수평관 모두 하류수위의 영향을 받는 하류통제의 경우에는 하류 수위수문곡선을 고려하여야 함


  
  
반응형

'수자원개발기술사 > Ⅴ.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 가물막이 댐의 대상 홍수량 결정방법  (0) 2023.05.11
38. 유수전환방식*  (0) 2023.05.10
36. 여수로의 에너지감세공*  (0) 2023.05.08
35. 비상여수로  (0) 2023.05.08
34. 댐 여수로 수문*  (0) 2023.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