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개발기술사/Ⅴ.댐

28.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FRD) 기초설계시 기초지반의 평가요소

견마지로 2023. 5. 6. 00:00
  
  

문제) 13.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 기초설계시 기초지반의 평가요소. 92-1


1. 석괴댐(CFRD) 기초지반의 평가요소(지압침투)

  제체 기초로서 중요한 요소가 되는 지반강도, 압축성, 침식성, 투수성 등에 대하여 허용성을 평가

  ⑴ 반강도

    ① 기초의 일부분에 있는 충적층이나 풍화암을 제거하지 않는 것이 경제적일 수 있으나,

         투수에 불리한 방향의 시임(seam)이 포함되어 있으면 안정성 검토가 필요

    ② 이 경우 기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초지반 보강공법을 수립하거나 제체의 사면경사를 완화하는 것이 필요

  ⑵ 축성

    ① 기초지반은 예상되는 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고, 가급적 침식, 풍화에 강한 지반을 선택

    제체 및 차수벽지지존 기초의 압축성으로 인해 차수벽에 큰 균열을 유발할 수 있는 부등침하를 방지

    프린스 하류 0.3H 또는 0.5H내의 기초 구간은 가장 높은 수()하중을 받으며,

         이의 변형은 차수벽의 변형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압축성이 작고 균등하게 유지되도록 함

         (H : 해당 프린스 단면에서의 댐 높이)

    기초지반의 압축성에 대한 허용치는 규정할 수 없지만 축조 암의 탄성계수보다 큰 기초재료는 허용될 수 있음,

         만약 기초의 압축성이 축조 암석존의 압축성보다 크거나 같다면 차수벽의 변형에 미치는 기초침하의 영향을 고려

    기초의 압축성에 의한 차수벽의 변형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과 같은 수치해석에 의한 분석을 수행

식성

    높은 동수경사로 인한 프린스 기초의 침식방지는 매우 중요,

         만약 침식성 재료가 적정하게 제거될 수 없다면 동수경사를 줄여, 침식으로 인한 재료의 이동과 누수를 방지

    트랜지션존 기초의 처리폭은 암질과 동수경사에 의존,

         특별한 기초지반인 경우에는 침식성을 방지하기 위해 그 폭은 최대 댐 높이만큼 연장될 수 있음

수성

    프린스 기초는 낮은 투수성을 가져야 하며, 일반적으로 투수성을 낮추기 위해서 그라우팅 등이 이루어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