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기준, 매뉴얼 등)

소하천정비종합계획수립지침(2023.1행정안전부)

견마지로 2023. 3. 13. 21:50
  
  

소하천정비 종합계획 수립지침(2023. 1 행정안전부)

소하천정비종합계획수립지침(2023.1행정안전부).hwp

보고서 표준 목차(안)

제1장 과업의 개요

   1.1 과업의 목적

   1.2 과업의 범위

   1.3 과업의 내용

제2장 과업범위 조정

   2.1 대상 소하천 현황

   2.2 과업범위 조정

     2.2.1 지정 및 조정 기준

     2.2.2 소하천의 지정 폐지 및 신규 지정

     2.2.3 소하천명 조정

     2.2.4 소하천 연장 및 유역면적 조정

제3장 소하천등 측량

   3.1 기준점측량

   3.2 지형현황측량

   3.3 수준측량

   3.4 종단측량

   3.5 횡단측량

   3.6 표석매설

   3.7 홍수흔적측량

   3.8 지적평면도 작성

제4장 기초현황 조사

   4.1 유역특성 조사

     4.1.1 유역의 개황

     4.1.2 유역의 특성

     4.1.4 유역의 사회‧문화적 현황

     4.1.5 토질 및 토양 현황

  4.2 하도특성 조사

     4.2.1 하도형태

     4.2.2 토사유출 현황

     4.2.3 하상변동 현황

     4.2.4 하천시설물 현황

     4.2.5 국가・지방하천 접속부 현황

   4.3 기초수문 조사

     4.3.1 수문관측소 현황

     4.3.2 일반기상

     4.3.3 기초 수문량 조사

   4.4 소하천 환경 조사

     4.4.1 수질 및 저질 조사

     4.4.2 생태환경 조사

     4.4.3 오염원 현황 조사

   4.5 피해현황 및 소하천등 정비 연혁 조사

     4.5.1 피해현황 조사

     4.5.2 소하천등 정비 연혁

   4.6 소하천등 이용현황 조사

     4.6.1 유수이용 실태 조사

     4.6.2 관광・위락 등 공간이용 현황

   4.7 관련계획 조사

     4.7.1 방재 관련계획

     4.7.2 토지이용 관련계획

    4.7.3 시설 관련계획

제5장 종합계획 수립방향 설정

   5.1 종합계획 기본방향

   5.2 재해예방계획 분야

     5.2.1 재해예방계획 기본방향

     5.2.2 구조적 대책 수립

     5.2.3 비구조적 대책 수립

   5.3 이수 및 친수계획 분야

     5.3.1 이수계획 수립

     5.3.2 친수계획 수립

   5.4 환경계획 분야

     5.4.1 환경계획 기본방침

     5.4.2 환경계획 기본사항

     5.4.3 소하천 환경개선 및 보전

     5.4.4 소하천 환경계획 수립

   5.5 유지관리계획 분야

   5.6 타 분야 계획과의 연계 및 조정 분야

      5.6.1 도시계획과의 연계 및 조정

      5.6.2 자연재해대책법 관련 주요 제도와 연계 및 조정

      5.6.3 국가 및 지방하천계획과의 연계

제6장 홍수량 산정 및 유황분석

   6.1 강우분석

     6.1.1 강우량자료 수집 및 검정

     6.1.2 확률강우량 산정

     6.1.3 설계강우의 시간분포

   6.2 홍수량 산정

     6.2.1 홍수량 산정지점 선정

     6.2.2 홍수량 산정방법

     6.2.3 유효우량 산정

     6.2.4 지형인자 및 매개변수 산정

     6.2.5 확률홍수량 산정

     6.2.6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결정

   6.3 유황분석

     6.3.1 유황분석

     6.3.2 갈수량 분석

     6.3.2 유지유량 산정

제7장 하상변동 분석 및 장래수질 예측

   7.1 하상변동 분석

     7.1.1 하상재료 조사

     7.1.2 유사량 산정

     7.1.3 하상변동예측

   7.2 장래수질예측

     7.2.1 수질예측 방법

     7.2.2 수질예측 결과

제8장 소하천의 종합적인 정비계획 수립

   8.1 소하천등 공간정비계획

     8.1.1 소하천등 공간 관리

     8.1.2 소하천등 공간의 구역구분

   8.2 하도정비계획

      8.2.1 하도정비계획 수립절차

      8.2.2 홍수위 산정

      8.2.3 평면계획

      8.2.4 종단계획

      8.2.5 횡단계획

   8.3 소하천시설 정비계획

      8.3.1 소하천시설 검토 및 정비계획

      8.3.2 신설하천 정비계획

   8.4 환경시설 정비계획

      8.4.1 소하천 수질개선

      8.4.2 소하천 생태보전 및 복원

    8.5 소하천별 시설물 계획 총괄

제9장 치수경제성 분석 및 시행계획 수립

   9.1 치수경제성 분석의 개요

     9.1.1 치수경제성 분석 목적

     9.1.2 치수경제성 분석 방법

     9.1.3 치수경제성 분석 대상 및 범위

   9.2 치수경제성 분석

     9.2.1 피해액 산정

     9.2.2 예상 연평균 피해경감 기대액(편익)의 산정

     9.2.3 비용의 산정

     9.2.4 치수경제성 분석

   9.3 투자 우선순위

   9.4 단기 및 중장기 시행계획

제10장 소하천등 다목적 이용 및 주민 소득증대 방안

    10.1 소하천 다목적 이용 방안

     10.1.1 둔치 이용 및 활용방안

     10.1.2 폐천부지 이용 및 활용방안

   10.2 주민 소득증대 방안

제11장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1.1 기대효과

   11.2 활용방안

제12장 기타사항

□ 부록

□ 부도

- 평면도

- 종단면도

- 횡단면도

  
  

요약보고서 표준목차(안)

제1장 과업의 개요

   1.1 과업의 목적

   1.2 과업의 범위

제2장 과업범위 조정

   2.1 대상 소하천 현황

   2.2 과업범위 조정 결과

제3장 홍수량 산정

   3.1 강우분석 및 홍수량 산정절차

   3.2 강우분석 결과

   3.3 홍수량 산정결과

제4장 홍수위 산정

   4.1 홍수위 산정 절차

   4.2 홍수위 산정 결과

제5장 소하천의 종합적인 정비계획 수립

   5.1 소하천등 공간의 구역구분 결과

   5.3 소하천등 시설정비계획

   5.4 신설 소하천 정비계획

   5.5 소하천별 시설물 계획 총괄

제6장 치수경제성 분석 및 시행계획 수립

   6.1 투자 우선순위 산정결과

   6.3 단기 및 중장기 시행계획

제7장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7.1 기대효과

   7.2 활용방안

 

참고로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수립 지침(최종)(2016.11국민안전처)(수정본).hwp

  
반응형